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6]태곰

2012.05.07 (08:23:22)

와...우........ 정말 복잡 과정을 거치는 군요. 


들어가는 목재 하나하나 사람손으로 미리 다듬고, 모양낸 다음에 조립하는 것이 참 대단해 보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05.07 (09:23:54)

구조의 딜레마.

 

기둥을 먼저 세우고 인방을 끼운다음

다시 나무 망치로 때려서 기둥의 위치를 약간 옮겨야 한다는 것.

 

근데 궁궐의 거대기둥은 어케 끼우지?

망치로 때린다고 기둥이 들어가남>?

 

아래 인방을 이미 끼웠는데

이제 위의 인방을 끼워야 할 때는 어떻게 하지?

 

이미 끼운 기둥을 또 빼내남?

위의 인방을 끼우기 위해 기둥 사이의 간격을 벌리면 아래 인방이 낼름 빠지자나?

 

설령 인방을 끼운다 한들 그 들어가는 깊이가 너무 얕잖아.

이런 문제를 손쉽게 해결하는 방법은?

 

철제 경첩과 쇠못 혹은 볼트와 너트를 쓰는 것임.

그러나 그건 서양놈들이 쓰는 야매임.

 

야매의 방법을 안 쓰고 정통적인 방법으로

구조의 딜레마를 해결하면 10조원을 벌어서 상금으로 주겠소.

 

10조원은 너끈히 벌 수 있다는 말이오.

 

###

 

구조의 딜렘마는

인방의 길이는 기둥 사이 간격보다 크다.

 

이는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소.

구조재의 정보 총합은 구조재의 에너지 합보다 크다.

 

완제품은 부품의 합보다 크다.

질은 양의 합보다 크다.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

왜? 포지션이 들어가 있으니까.

 

인방의 끝에 난 돌기는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

그 부분 때문에 구조의 딜렘마가 생겨나오.

 

안으로 들어가야 하는 것이 그 출입문보다 크다는 것.

냉장고에 코끼리를 집어넣어야 하는 문제이오.

 

이 문제를 푼 사람은 아직 없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882
467 허영만 '주식 만화' 25% 손실! 아나키(÷) 2020-07-05 1798
466 이해찬과 김병준 3 수원나그네 2020-07-06 1779
465 내일 7월 9일 목요모임 장소 변경 안내 image 3 오리 2020-07-08 1467
464 일본의 에너지 고립. image 아나키(÷) 2020-07-08 1376
463 박인환상 공모전(7월31일까지) 1 수피아 2020-07-08 1480
462 사유의 방법과 철학 오민규 2020-07-08 1265
461 구조론 목요모임(홍대입구역 ,강남역 아님) image 오리 2020-07-09 1381
460 인상주의 시대 음악가에 대한 구조론적 해석 3 오민규 2020-07-09 1673
459 중앙일보 이순신을 들먹이다. 한국은 친일에 뿌리가 깊다. 1 아나키(÷) 2020-07-13 1586
458 구조론 목요모임(서울역) image 2 오리 2020-07-15 1289
457 원인과 결과 약속 2020-07-17 1198
456 가장 큰 피해자는 세입자 3 약속 2020-07-17 1481
455 그린벨트해제관련 1 약속 2020-07-19 1487
454 타자성에 관하여 현강 2020-07-23 1257
453 구조론 목요모임(서울역) image 오리 2020-07-23 1135
452 과거, 미래, 우리들의 사정 5 현강 2020-07-23 1418
451 그림 공부 image 현강 2020-07-24 1470
450 다 같은 라인이 아니다 현강 2020-07-25 1209
449 진리에 대한 주저리 1 다음 2020-07-26 1181
448 라인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현강 2020-07-26 1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