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6]태곰

2012.05.07 (08:23:22)

와...우........ 정말 복잡 과정을 거치는 군요. 


들어가는 목재 하나하나 사람손으로 미리 다듬고, 모양낸 다음에 조립하는 것이 참 대단해 보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05.07 (09:23:54)

구조의 딜레마.

 

기둥을 먼저 세우고 인방을 끼운다음

다시 나무 망치로 때려서 기둥의 위치를 약간 옮겨야 한다는 것.

 

근데 궁궐의 거대기둥은 어케 끼우지?

망치로 때린다고 기둥이 들어가남>?

 

아래 인방을 이미 끼웠는데

이제 위의 인방을 끼워야 할 때는 어떻게 하지?

 

이미 끼운 기둥을 또 빼내남?

위의 인방을 끼우기 위해 기둥 사이의 간격을 벌리면 아래 인방이 낼름 빠지자나?

 

설령 인방을 끼운다 한들 그 들어가는 깊이가 너무 얕잖아.

이런 문제를 손쉽게 해결하는 방법은?

 

철제 경첩과 쇠못 혹은 볼트와 너트를 쓰는 것임.

그러나 그건 서양놈들이 쓰는 야매임.

 

야매의 방법을 안 쓰고 정통적인 방법으로

구조의 딜레마를 해결하면 10조원을 벌어서 상금으로 주겠소.

 

10조원은 너끈히 벌 수 있다는 말이오.

 

###

 

구조의 딜렘마는

인방의 길이는 기둥 사이 간격보다 크다.

 

이는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소.

구조재의 정보 총합은 구조재의 에너지 합보다 크다.

 

완제품은 부품의 합보다 크다.

질은 양의 합보다 크다.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

왜? 포지션이 들어가 있으니까.

 

인방의 끝에 난 돌기는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

그 부분 때문에 구조의 딜렘마가 생겨나오.

 

안으로 들어가야 하는 것이 그 출입문보다 크다는 것.

냉장고에 코끼리를 집어넣어야 하는 문제이오.

 

이 문제를 푼 사람은 아직 없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953
468 구조론과 반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5-03-30 5095
467 구조의 피라미드. 2 아제 2010-02-10 5096
466 질문 - 빵이 하나 있다면? 19 김동렬 2013-06-26 5105
465 누드시대의 석가 image 4 김동렬 2014-05-20 5112
464 인간 언어의 원리 1 김동렬 2013-09-26 5115
463 신자유주의를 극복하는 방법 3 기준님하 2009-07-24 5119
462 나는 가수다 - 경쟁은 상생을 위한 보조수단 이라는 것이 '원칙' 이다. image 3 아란도 2011-03-28 5119
461 IT혁명의 미래 2 르페 2009-03-18 5123
460 섬으로의 고립을 드러내라 눈내리는 마을 2009-03-12 5129
459 김혜연의 트로트 '뱀이다' 이대로 괜찮은가? 3 수피아 2021-06-15 5131
458 관점의 근육 9 냥모 2014-09-09 5138
457 [re] 말이 참 많다 1 필부 2008-08-25 5140
456 한국은 세계 5대강국이다. image 4 김동렬 2015-04-15 5145
455 제프 베조스의 빅 아이디어 image 4 김동렬 2018-07-25 5145
454 어디서 본 역겨운 글 image 2 김동렬 2013-08-19 5150
453 인간의 짝. 1 아제 2010-05-27 5155
452 구조론이 생각하는 '조직관리'가 듣고 싶습니다 3 눈내리는 마을 2009-06-11 5157
451 [특별기획] 김동렬 인터뷰 01 8 냥모 2013-11-29 5167
450 서로 다른 관점을 이용하는 방법 1 기준님하 2009-07-25 5168
449 구글 바드 테스트 image 1 chow 2023-04-21 5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