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록
read 7114 vote 1 2003.01.28 (17:49:46)

좋은 직업은 자신의 숨은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내는 직업입니다. 만약 자신에게 아무런 잠재력이 없다면, 그 어떤 직업도 소용이 없겠지요. 이 때는 노숙자가 되는 것도 한번쯤은 고려해볼만한 일이라고는 차마 말하지 않겠습니다.

반면 자신에게 알지 못하는잠재력이 있다면 그 숨은 잠재력을 알아낼 때 까지 여러번 직업을 바꾸어보는 것도 좋을 테지요.

어떤 직업이 자신에게 적합한지 그렇지 않은지는 스트레스의 강도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모든 일은 스트레스를 줍니다. 그러나 스트레스가 꼭 나쁜 것은 아닙니다. 어떤 경우 굉장히 예민해지고 긴장하게 되지만 그 긴장으로부터 쾌감을 느낄 수 있다면 그 스트레스는 좋은 스트레스입니다.

반면 스트레스를 감당할 수 없다면, 스트레스가 복통을 유발하거나 음주, 흡연을 요구한다면 이는 아주 나쁜 스트레스입니다. 중요한 것은 팽팽한 긴장입니다. 그 긴장이 즐길만한 긴장이라면 좋은 스트레스이고 전혀 긴장되지 않거나 혹은 그 긴장 때문에 호흡의 불안정, 식은땀, 불안 초조, 위장장애를 유발한다면 나쁜 스트레스입니다. 즉 좋은 직업은 팽팽한 긴장을 유발하되 그 긴장이 별로 나쁘지 않게 느껴지는 직업입니다.

내게 맞지 않은 직업은 두가지입니다. 첫째 아무런 스트레스가 없는 경우입니다. 정신의 긴장도 없고 극도로 나태해지는 경우입니다. 이런 직업은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 굉장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입니다. 이때 호흡의 불안정, 신경과민, 히스테리, 식은땀, 불안 초조, 위장장애를 유발하고 있다면 이러한 직업은 버려야 합니다.

좋은 직업은 하나입니다.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으나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경우입니다. 긴장을 유발하지만 그 긴장이 도리어 쾌감으로 돌아올 때입니다. 잊지 말아야 할 사실은 어떤 경우에도 자신의 숨은 잠재력을 100퍼센트 끌어내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171 4. 고대인들의 말씀의 세계관 2003-02-18 4451
170 3, 무상정등정각의 바른 시선은 있는가? 2003-02-15 5615
169 2, 인문학의 위기와 인문학자의 위기 2003-02-14 4959
168 1, 동양정신의 대안은 무엇인가? 2003-02-14 4861
167 철학자 러셀이 이런 말을 했다는군요. 2003-02-13 5724
166 홀로서기와 마주보기 2003-01-30 5882
165 사랑은 2003-01-29 4994
» 좋은 직업과 나쁜 직업 2003-01-28 7114
163 부자가 되는 방법은? 2003-01-27 7753
162 남자와 여자의 차이 2003-01-24 6372
161 사기꾼은 신용이 없다. 2003-01-22 8855
160 구조는 효율성이다 2002-12-30 5216
159 초발심 2002-12-16 4664
158 구조론을 한 마디로 설명한다면 2002-12-03 4516
157 강호동의 명언 2002-12-02 9171
156 코카와 펩시의 박터지는 홍보전 2002-11-13 5889
155 꽃잎 하나가 떨어지네 2002-10-27 6653
154 증권격언이 인생의 격언이다. 2002-10-15 5908
153 증권가 격언 2002-10-15 5391
152 아름다움의 근원 2002-10-11 5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