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록
read 6393 vote 0 2003.01.24 (15:27:36)

태초에 바이러스가 있었습니다.
바이러스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작은 덩어리인데 주위를 얇은 막이 둘러싸고 있습니다.
바이러스가 성장하면 수학적인 원리에 의해 둘로 쪼개집니다.
그러므로 세포의 크기는 한정되고 크게 성장할 수는 없지요.
성장이 불가능하므로 이 바이러스는 생물이 아닙니다.
그냥 내부에 조직을 갖춘 하나의 물질이죠.
이 바이러스에 두 종류가 있어요.
한 종류는 산(산소)에 약한 혐기성 바이러스이고
하나는 산에 강한 호기성 바이러스입니다.
태초에는 혐기성 바이러스가 많았는데
혐기성 바이러스가 산을 자꾸만 배출하여 공기중에 산이 많아졌어요.
혐기성 바이러스는 산을 싫어하기 때문에 공기 중에 산이 많아지자 거의 전멸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우연히 산을 싫어하는 혐기성 바이러스가 산을 좋아하는 호기성 바이러스의 몸 속으로 침투해 들어갔습니다.
혐기성 바이러스와 호기성 바이러스가 한 덩어리가 되어 공존하게 되었지요.
이 둘 사이에 산을 교환하는 매커니즘이 생겨났습니다.
이것이 생물의 호흡입니다.
이렇게 호흡을 시작하면서부터 생물의 진화가 시작된 것입니다.
생물 진화의 역사는 호흡의 역사입니다.
장기나 기관 이런건 별거 아니에요.
바이러스가 호흡을 시작하기 이전까지는
생물이라고 보기 어려운 자연발생적인 단백질덩어리였지요.
호흡은 혐기성 바이러스가 산을 배출하면 호기성 바이러스가 잡아먹는 형태의 공생관계이죠.
잡아먹고 배출하는 하나의 펌프가 만들어진 것입니다.
생물 진화의 과정은 호흡을 원할하게 하는 구조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동물의 피부세포도 호흡을 하고 식물의 잎도 호흡을 합니다.
여기서 혐기성 바이러스가 수컷이고 호기성 바이러스가 암컷입니다.
수컷은 암컷 속으로 침투하고 그 댓가를 지불하면 암컷은 수컷이 제공하는 댓가를 잡아먹고 사는 공생관계가 이루어진 것입니다.
동물의 섹스나 번식이나 호흡은 모두 이러한
호기성 바이러스와 혐기성 바이러스의 결합과정을 복제 반복하고 있어요.
지금도 여전히 수컷이 암컷 내부로 침투하고
암컷은 수컷이 제공하는 것에 의존하는 관계가 유지되고 있는 것입니다.
왜 여자는 남자를 낳는데
남자는 여자를 낳지 못하는가?
남자는 산에 약하기 때문에 스스로 번식을 할 수 없는 것입니다.
번식은 호흡으로부터 시작되는데
호흡은 산을 받아들이는 일이기 때문이지요.
하여간 남자와 여자 혹은 암컷과 수컷의 특징은
모든 동물 심지어 식물에도 동일하게 발견되고 있습니다.
사람도 황소도 고릴라도 개구리도 마찬가지에요.
암컷과 수컷의 특징은 동일하게 나타납니다.
수컷은 스스로 보호하지 못하기 때문에 침투하려고 하고
암컷은 스스로 보호가 가능하기 때문에 받아들이려고 하지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171 공안을 풀어보자 2003-03-27 4213
170 미학의 정치 미학의 바둑 2003-04-04 6207
169 미는 주관일까 객관일까? 2003-04-20 5060
168 인간의 행동은 자연스러움을 따라간다. 2003-05-04 4626
167 세계는 무엇으로 되어 있을까? 2003-05-05 4915
166 불 끄는 개 2003-05-09 6780
165 행복의 조건 2003-05-17 6041
164 팩트, 패턴, 로직, 매커니즘, 패러다임 2003-05-24 5336
163 시스템의 단계적인 모듈화과정 2003-05-25 4643
162 원만이아저씨의 행방불명 2003-05-28 10806
161 진화론의 허실 2003-05-30 4729
160 역사란 무엇인가? 2003-05-30 5685
159 구조론의 출발 2003-06-05 5740
158 삶이 고픈 나그네 2003-06-06 4783
157 어떤 편지에서 2003-06-08 4469
156 인류 7만년전 한때 사라질 뻔 2003-06-10 6083
155 집합적 구조의 이해 2003-06-10 4219
154 임제가 황벽과 대우를 두들겨 패다 2003-06-11 5731
153 그대 그런 사람을 가졌는가 2003-06-11 5505
152 아날로그와 디지털 2003-06-11 5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