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6107 vote 0 2008.09.01 (20:57:52)

공룡의 멸종 원인

공룡의 멸종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가설이 있으나 모두 외부요인설이다. 소행성 충돌설 등 외부에서의 환경변화에서 원인을 찾는 외부요인설은 논리적인 필요충분조건을 충족시키못한다.

답은 내부에서 찾아져야 한다. 감기 바이러스가 침투한 것은 외부영향이고 감기에 대한 저항력이 약한 것은 내부요인이다. 바이러스가 침투한다고 해서 반드시 감기가 발병하는 것은 아니다.

구조주의 논리학으로 볼 때 모든 원인의 작용은 외부영향과 내부원인이 함께 맞아떨어질 때 일어난다. 원인≫작용≫판정≫반작용≫결과의 전개에서 외부작용과 내부반작용이 판정되는 과정을 반드시 거친다.

어떤 일의 원인은 작용과 반작용의 밸런스가 그렇게 판정했기 때문이다. 외부에서의 작용은 무수히 많다. 결정적으로 밸런스를 무너뜨려 계의 해체 형태로 변화를 촉발한 것이 진짜 원인이다.

한 국가의 흥망이나 어떤 회사의 발전과 퇴보 혹은 어떤 스포츠팀이 승리와 패배 원인 역시 마찬가지다. 반드시 밸런스가 있다. 내부에서 우리의 강점과 외부에서 적의 약점이 일치할 때 승리는 주어진다.

공룡의 멸종과 관련한 모든 가설이 외부요인설의 한계를 가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지금까지 나온 진화론의 모든 가설도 외부요인설의 한계를 넘지 못한다. 안팎의 밸런스 개념이 없는 이런 식의 강변은 설득력이 없다.

다윈의 돌연변이설이 대표적이다. 변이를 촉발하는 방사선이 외부에서 작용하므로 외부요인설의 한계를 넘지 못한다. 무수히 많은 외부원인 중에서 결정적으로 밸런스를 무너뜨린 하나를 찾아야 한다.

공룡의 멸종이 주목되는 이유는 최근 학계의 성과에 의해 가장 많이 언론에 오르내렸기 때문이다. 6500만년 전 소행성 충돌에 의해 공룡이 멸종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나 그 직전에 공룡은 이미 멸종단계에 와 있었다.

소행성의 충돌로 인한 환경변화는 이미 유전적 다양성을 잃어서 환경적응이 불가능해진 상태에서의 확인사살에 불과하다. 공룡이 멸종한 진짜 원인은 유전적 다양성 상실로 신종이 출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갈라파고스 섬의 핀치새가 살아남은 이유는 다양한 형태로 부리의 모양을 변화시켰기 때문이다. 그것을 가능케 한 유전적 다양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치타는 그러한 유전적 다양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개는 늑대와 자칼 사이에서 다양한 아종이 만들어진다. 덩치가 큰 것부터 작은 것 까지 온갖 형태가 있다. 개가 치타에 비해 유전적 다양성이 크다. 그러므로 개가 치타보다 환경변화에 적응할 확률이 높다.

환경의 작용은 우연이다. 모든 우연의 작용은 나쁜 결과를 초래할 뿐이다. 우연에 의한 퇴화와 멸종은 가능해도 진화는 불가능하다. 신종이 출현하지 않으면 환경변화에 의해 결국 모두 멸종하고 만다.

왜 공룡의 유전적 다양성이 줄어들었는지 또 왜 신종이 출현하지 않았는가를 설명해야 한다. 만약 공룡이 유전적 다양성을 가졌다면 소행성 충돌에 의한 핵겨울 때 살아남을 수 있는 변종을 출현시켰을 것이다.

그리고 살아남은 소수는 급속하게 번식하여 생태계를 장악했을 것이다. 그러므로 소행성 출동은 이미 멸종단계에 도달하여 몇몇 인상적인 거대공룡만 살아남은 상태에서 최후의 일격을 가한 정도의 의미를 가질 뿐이다.

공룡의 멸종 사례가 의미하는 것은 모든 종은 필연적으로 멸종하게 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이미 포유류에 있어서도 신종의 출현은 관측되지 않고 있다. 포유류 역시 대멸종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암수의 유전자 교환으로 번식하는 모든 종은 장기적으로 멸종할 수 밖에 없는 구조적 취약점을 가진다. 반대로 진화의 원인은 그 취약점을 극복하는 장치가 과거 종의 대 발생기에 있었음을 의미한다.

www.drkimz.com.


[레벨:0]착한 고학생

2009.06.03 (12:00:36)

공룡이 꼭 전부 소멸 했다고 보진않는데요~ 진화론적으로 보면 지금도 지구상에  공룡의 후손들이 살고 있으니까요
공룡의 대량으로 일시적 비교적 짧은 시간에 멸종되었기 때문에  그사건이 무엇인지 궁금해 하는거 같은데요?
공룡멸종의 내부적인 원인으로는 폐와장기사이에 횡경막이 없으므로 산소가 극심히 적어진 환경에 적응 하지 못한이유도 있었고요
제가 공룡에 관심이 많아서요~ ㅎㅎ

프로필 이미지 [레벨:4]삐따기

2010.12.20 (17:03:38)

범위의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공룡이라고 함은 임의로 사람이 나눈 단위일뿐.

공룡의 다양성 부족이 아니라 다양성의 일부분이 공룡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사라진 부분을 공룡이라고 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결국 우연에 의해서 공룡이라고 나뉜 부분은 생존하지 못했지만, 공룡외의 다른 부분은 생존했습니다. 다양했기때문에..

일부분은 살아 남은 겁니다. 그래서 사람도 존재하는 것이고...

앞으로도 우연은 계속 일어날 것이고...포유류도 멸종하는 날이 올수도 있겠지요.

 

내가 포유류기때문에 포유류가 우연에 살아남을수 있도록 더 다양해지는 것이 좋다면, 그건 오류입니다.

어느범위 이상으로 다양해진다면 더 다양해진부분은 더이상 포유류가 아니기 때문이죠.

물론 우연의 크기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서서히 멸종하는 것이 아니고, 우연에 의한 갑작스런 멸종이라면 포유류 안에서 다양성은 그렇게 의미가 클 것 같지는 않습니다. 다양성을 증가시켜서 우연에 대비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큰 우연에 의해서 멸종할수 있지만, 작은 우연이라면 그것에  의하여 다양성이 증가 하는 것이기 때문이죠.

 

우연에 의한 퇴화와 멸종은 있을지 모르지만, 우연에 의한 진화는 없다고 말씀하셨는데.

작은 우연들이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작은 멸종이 진화이죠.

우연없이는 다양성도 없는 것이지요.

 

다양성의 정도는 잘은 모르겠지만, 기본적으로 다양성이 늘어가는 쪽으로 가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 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30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003
1980 Re..안녕하세요 동렬님 불석향 2002-10-22 13495
1979 박근혜 깡패의 화끈한 신고식 김동렬 2004-12-14 13497
1978 강금실이 나올 때 까지 김동렬 2005-05-01 13498
1977 민노당과의 연정 못할 거 없다 김동렬 2005-07-04 13500
1976 위플래쉬의 교육법 image 1 김동렬 2017-02-28 13500
1975 구조론을 공부하자 image 김동렬 2017-05-20 13500
1974 Re..미는 객관적인 실체가 있는 사물의 속성임 김동렬 2002-10-04 13502
1973 시간이 걸리지만 결국은 이기는 노무현식 정치 2005-09-19 13509
1972 나를 사랑하겠다는 비겁한 결심 image 김동렬 2017-05-15 13509
1971 "전여옥과 이어령이 보지 못한 일본" 김동렬 2005-02-12 13510
1970 제 3의 관점을 획득하라. image 김동렬 2017-01-24 13511
1969 총선의석 예상 image 김동렬 2004-03-21 13516
1968 법륜스님의 한겨레 칼럼에 대하여 17 김동렬 2013-02-09 13524
1967 늘 하는 이야기지만.. 김동렬 2005-12-12 13526
1966 컨택트 (Arrival, 2016) image 김동렬 2017-02-07 13526
1965 빨갱이들은 에미 애비도 없다 image 김동렬 2004-02-03 13528
1964 사물이 먼저냐 사건이 먼저냐? image 4 김동렬 2017-05-29 13530
1963 마음의 계기판 4 김동렬 2010-11-04 13530
1962 수렁에 빠진 MBC 김동렬 2006-01-02 13538
1961 노무현이 미워서 유시민을 때린다 김동렬 2006-01-09 13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