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4434 vote 0 2008.01.28 (21:47:38)

깨달음 세상 사람들

내 방식의 신과의 대화에 대해


깨달음 세상 사람들도 밥먹고 살려면 뭔가 생산적인 활동을 해야 할 것이다. ‘깨달음 세상 사람들’이라는 표현은 방금 생각해 낸 거다. 깨달은 사람이냐 못깨달은 사람이냐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는 수준이하들을 배척하기 위함이다.


신은 완전하다. 그 완전성이 존재한다. 그리고 완전할 때 통한다. 통하는 세계가 있다. 그 통하는 세계의 연주자가 있고 또 청중들이 있다. 그 연주자와 그 청중들이 깨달음 세상 사람들이다. 그 사람들이 만들어가는 별세계가 있다.

 

깨달음은 신어(新語)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다른 방식의 소통의 수단이다. 말하자면 에스페란토와 같은 것이다. 에스페란토를 쓰는 사람들은 자주 회합을 하는데 그들의 모임에서는 특별한 일이 일어난다. 그것이 그 집단의 매력이다.


깨달음의 언어로 소통하는 사람들도 자주 회합을 갖는데 그 모임에서도 특별한 일이 일어난다. 멋진 일이 있다. 그것이 이 공간의 존재이유다. 그 언어가 있고 그 언어로 이야기를 들려주는 연주자가 있고 또 청중이 있다.


음악이 없다면 장님들이 외로웠을 것이고 그림이 없다면 귀머거리들이 외로웠을 것이다. 그 언어는 눈 멀고 귀 먹고 말 못하는 헬렌 켈러들을 위한 특별한 언어다. 그 언어는 단어를 조직하여 만들어지지 않고 인생을 조직하여 만들어진다.


완전할 때 통한다. 완전하다는 것은 그 세계의 톱포지션을 차지함이다. 톱포지션은 전지전능한 이의 포지션이다. 소설의 작중 화자가 가지는 포지션이다. 작가는 다 알고 있으니까. 작가의 입장에서 불가능은 있을 수 없으니까.


톱포지션을 차지하지 못하면 연주할 수 없다. 작가가 될 수 없다. 그 언어로 이야기를 들려줄 수 없다. 천상천하 유아독존이 아니면 안 된다.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자세가 아니면 안 된다.


통함이 있다. 연주자와 연주자는 체험의 공유로 통하고, 연주자와 청중은 감성으로 통한다. 귀 없고 눈 없고 입 없어도 깨달음의 감성이 있으면 통한다. 다만 깨달았느냐 못깨달았느냐 수준에 붙잡혀 있으면 가망없다. 


이 사이트는 내일 문닫아도 상관없다. 단지 한 명의 진짜를 구할 뿐이다. 아제님은 다섯이면 충분하다 했는데 이 넓은 세상에 설마 다섯이 없겠는가? 어설프게 주워들은 금강경 지식으로 거울닦으실 분들은 배척이다.


‘나는 바보다’ ≪- 이런 소리 하실 분들은 번지수 잘못 짚었으니 제발 얼쩡거리지 마시길. 아니면 닥치고 연주나 즐기면서 감성을 키워보시든지. 바보들은 환영하지 않는다. 세상의 바보들에게 웃으면서 화내기도 반복되면 지겹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98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723
1910 추상적인 사고 image 3 김동렬 2012-01-04 13697
1909 명계남 문성근의 끝나지 않은 도전 image 김동렬 2004-04-07 13709
1908 전여옥 인간 만들기 진행중 김동렬 2004-09-23 13710
1907 진보의 구조 image 4 김동렬 2010-07-22 13710
1906 이회창 개그 (펌) 김동렬 2002-10-23 13712
1905 높이 나는 새가 멀리 본다 김동렬 2004-09-20 13715
1904 강준만 아직도 더 망가질 건수가 남았다 김동렬 2005-06-22 13715
1903 씽.. 너무 속상하다.. ㅠㅠ 키쿠 2002-10-13 13716
1902 마음이 하는 일 2 김동렬 2010-10-23 13717
1901 조를 까시오 조를 까! image 김동렬 2003-10-29 13719
1900 박정희를 넘어서야 미래가 있다 김동렬 2004-08-13 13720
1899 조선일보 불 내가 질렀다 김동렬 2005-06-23 13721
1898 우리당의 물로 가는 자동차 김동렬 2004-10-15 13722
1897 Re:남한뇨자덜 질투함, 북녀만 넘 좋아덜 마시라요ㅎㅎ(0) Y 2002-10-09 13726
1896 우주의 탄생 image 13 김동렬 2013-10-01 13726
1895 신기남 의원님 대단히 우려됩니다 김동렬 2003-02-26 13729
1894 정동영의 현장정치 image 김동렬 2004-01-14 13730
1893 동렬박사님, 단일화는 안되는 건가요? 뽕뽕이 2002-10-25 13732
1892 김대중대통령의 역사적인 취임을 앞두고 image 김동렬 2003-02-20 13736
1891 구조론에 도전해보자. image 1 김동렬 2017-01-29 13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