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7105 vote 0 2007.11.06 (22:44:43)

질서와 무질서


자연을 관찰하면 반복되는 것이 있고 반복되지 않는 것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은 구조적으로 얽혀 있다. 하루는 부단히 반복된다. 오늘 뜬 해는 내일도 뜬다. 그런데 하루 안에서 아침은 반복되지 않는다.


아침 다음은 아침이 아니고 점심이다. 낮 다음은 낮이 아니고 밤이다. 소설 한 편은 어떻게든 끝이 난다. 노래 한 곡은 언제든 끝난다. 건물 한 채는 따로 독립되어 있다. 사람 한 명도 독립되어 있다. 끝이 있다. 


숫자는 반복된다. 1과 2는 반복된다. 3과 4와 5로 무한히 전개하여 끝이 없다. 그러나 자연수 1은 자연에 실제로 존재하는 사과 하나를 가리킨다. 이때 그 사과와 숫자 1의 결합구조 그 자체는 반복되지 않는다.


사과 하나와 숫자 1이 만나 개념 하나를 이룬다. 여기에 만남의 구조가 있다. 엄마 하나와 아빠 하나가 만나 자녀 하나를 낳듯이 사과 하나와 숫자 1이 만나 개념 하나를 이루는 대응구조 자체는 반복되지 않는다.


반복되지 않는다는 것은 하나여야 한다는 말이다. 숫자 1은 사과도 하나 개념도 하나 만남도 하나여야 한다. 자녀 하나는 엄마도 하나 아빠도 하나 결혼도 하나여야 한다. 둘이면 안 된다. 엄마가 둘이면 안 된다. 반복되면 안 된다.


하루는 반복되지만 그 하루 안에서 아침이 반복되지 않는 것은 그 하루가 지구와 태양이 만나는 구조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지구 하나가 태양 하나와 만남 하나 날자 하나로 세트를 이룬다. 세트 안에서 결코 둘은 안 된다.


● 비반복성이란 무엇인가?.. 지구 1+태양 1+만남 1+밤낮 1=날자 1의 전개에서 세트를 이루는 요소들은 반드시 1이어야 한다. 2는 허용되지 않는다.


모든 반복되는 것은 내부에 반복되지 않는 절대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 구조는 만남의 형태를 반영하고 있고 그 만남의 얼개 자체는 결코 반복되지 않는다. 헤어지기 전에는 다시 반복되지 않는다.


인간은 일생에 걸쳐 오직 한 번 출생하고 한번 죽을 뿐이다. 인간은 한 번 태어나서 세상과 만나고 한 번 죽어서 세상과 이별한다. 그 삶의 1 사이클 안에서 두번 태어남이 없고 두번 죽음도 없다. 반복되지 않는다.


모든 만남이 있는 것은 반복되지 않는다. 만남이 얽힘이고 얽힘이 관계이고 관계가 비반복성이다. 모든 만남이 그러하다. 한번 헤어지기 전에 두번 만나지 않고 다시 만나기 전에 두번 헤어지지 않는다. 그것은 불가능하다.

  

질서와 무질서, 존재의 반복성과 비반복성은 이처럼 따로 떼어질 수 없다. 둘은 합쳐져 하나의 세트를 이룬다. 이로서 자연의 체계를 이룬다. 모든 반복되는 것 내부에는 비반복성이 숨어 있다. 반복되지 않는 것은 완성되고서야 반복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6560 의사결정 원리 김동렬 2023-11-22 1487
6559 한국인들에게 고함 1 김동렬 2023-11-22 1895
6558 허세의 종말 3 김동렬 2023-11-21 1893
6557 인류 최고의 발명 1 김동렬 2023-11-20 2070
6556 클린스만의 명암 김동렬 2023-11-20 1742
6555 시공간은 휘어지지 않는다 김동렬 2023-11-19 1624
6554 LG 구광모 회장 잘할까? 김동렬 2023-11-19 1625
6553 인간의 응답 김동렬 2023-11-16 2265
6552 재벌야구 실패 차명석 야구 성공 김동렬 2023-11-16 1956
6551 신의 진화 김동렬 2023-11-15 1716
6550 인요한님 맞을래요 김동렬 2023-11-14 2357
6549 염경엽 야구의 해악 김동렬 2023-11-14 1742
6548 슈뢰딩거의 고양이 3 김동렬 2023-11-13 2184
6547 인간의 비극 김동렬 2023-11-12 1882
6546 말씀과 약속 김동렬 2023-11-10 1627
6545 문명과 야만의 차이 1 김동렬 2023-11-10 1751
6544 방향과 압박 김동렬 2023-11-09 1765
6543 중국인들이 씻지 않는 이유는? 김동렬 2023-11-08 1939
6542 얼빠진 이탄희 자살정치 2 김동렬 2023-11-07 3673
6541 구원의 의미 김동렬 2023-11-06 1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