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438 vote 1 2007.11.05 (17:56:08)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


세상의 모든 존재는 주어+동사다. 주어에 주목하면 동사(형용사)로 표현되고 동어반복의 오류에 빠진다. 반면 동사에 주목하면 관계가 보인다. 관계는 메커니즘이고 이는 명사로 표현된다.


바람이 불다. ‘불다’를 명사로 바꾸면 ‘불음’이 된다. 불음이 바람이다. 바람과 불다는 명사냐 동사냐일 뿐 본질에서 같다. 바람에 주목하면 불다에 도달하고 끝난다. 불음에 주목하면 밀도차 곧 기압의 존재를 발견할 수 있다. 


입으로 바람을 불어본다. 입속이 입 바깥보다 공기의 밀도가 높다. 기압의 차이에 의해서 공기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동역학적 메커니즘이 발견된다. ‘~이면 ~이다’를 충족하는 방정식의 확립이다.


비로소 답을 찾았다. 가만이 관찰해 보면 세상의 모든 법칙이 결국 이와 같은 한 가지 패턴으로 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것으로 세상의 모든 문제를 풀 수 있다는 확신이 들었다.(발췌)

***.. 제가 얻어낸 모든 지혜는 이 하나의 방법에서 나온 것이오. 나는 이것을 초등학교 4학년때 고안해서 이후로 무수히 써먹고 있소. 이 내용은 아래 구조론의 착상에 추가한 부분이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0318
1886 구조체의 이해(업데됨) image 김동렬 2008-03-06 14941
1885 쿨하다는 것 2 김동렬 2008-03-02 15715
1884 쿨하다는 것 김동렬 2008-03-01 15220
1883 구조론의 의미 김동렬 2008-02-28 11600
1882 구조론의 탄생 김동렬 2008-02-27 11077
1881 구조론과 결정론 김동렬 2008-02-26 15503
1880 구조는 통합형의 모형을 제시한다 김동렬 2008-02-23 13439
1879 아래에 추가 김동렬 2008-02-23 13452
1878 달마실이 가는 길 김동렬 2008-02-20 10798
1877 세 가지 깨달음에 대해 김동렬 2008-02-20 14134
1876 손가락이 다섯인 이유 김동렬 2008-02-19 13809
1875 구조론 총론 김동렬 2008-02-13 12125
1874 철학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8-02-10 16157
1873 소통의 부재 김동렬 2008-02-06 14975
1872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김동렬 2008-02-02 16473
1871 미라이 공업의 경우 김동렬 2008-02-01 16797
1870 글쓰기와 글읽기 김동렬 2008-01-31 13417
1869 깨달음 세상 사람들 김동렬 2008-01-28 14350
1868 부조리에 대해서 김동렬 2008-01-27 13199
1867 구조의 대개 김동렬 2008-01-24 1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