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257 vote 0 2007.10.27 (16:54:28)

왜 인문학이어야 하는가?

학문의 꽃은 인문학이다. 인문학의 결론은 철학과 미학이며 최종적으로는 미학이다. 철학은 미학에 도달하는 과정이며 다른 많은 인문학의 분야들은 그 철학에 도달하는 과정이다.

철학의 명령은 ‘내 인생을 관통하는 테마를 얻어라’는 것이다. 삶의 일관성을 담보할 관(觀)의 획득이다. 이야기를 완성하기다. 지나간 어제와 다가오는 내일 사이에서 오늘 내 삶의 나아갈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다.

미학의 명령은 ‘지금 이 순간을 완성하라’는 것이다. 철학이 시간 상의 오늘과 내일을 잇는다면 미학은 공간 상의 나와 주변환경을 통일한다. 그렇다. 나는 지금 이곳에 있다. 그 자체를 아름답게 완성하기다.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 산은 물을 품고 물은 산을 휘감는다. 인간이 그 산과 그 물 사이에서 그 산과 그 물과 그 존재를 일치시킨다. 그렇게 완성하기다. 산을 산으로, 물을 물로, 인간을 인간으로 완성한다.   

미학이 일치라면 철학은 연동이다. 철학은 어제와 내일 사이에서 시간적으로 연동시킨다. 철학과 미학에 의해 시간과 공간의 좌표가 정해진다. 그 지점에서 나의 존재가 분명한 실체를 드러낸다.  

인문학이 중요한 이유는 인간의 실생활과 밀접하기 때문이다. 미학은 지금 이 순간 내가 해야 할 일을 일러준다. 그러므로 미학은 언제나 새롭다. 지금 이 순간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과학은 다른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로보트가 수술을 하고 컴퓨터가 판결을 내리는 세상이 온다. 과학의 진보는 그렇게 대체하여 가는 과정이다. 과학은 전문 분야의 종사자에 역할이 한정될 뿐 인간의 실생활과 밀접하지 않다.

철학은 대체될 수 없다. 누구도 나의 삶을 대신 살아줄 수 없다. 아름답거나 아니면 실패하거나다. 과학의 토대 위에 인문학의 뿌리가 내려지고 철학의 줄기가 자라나 미학의 꽃을 피운다. 이 순간을 완성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8954
1925 이기명 선생님께 올리는 글 노무현펌 2003-06-05 13535
1924 문학의 최종결론은 의리다 image 2 김동렬 2017-10-12 13541
1923 조선일보가 비판받아 마땅한 100가지 이유(한겨레펌) 김동렬 2003-03-25 13546
1922 박근혜의 망언 김동렬 2004-09-03 13546
1921 박노자가 못 본 대한민국 김동렬 2003-01-26 13549
1920 뉴라이트의 본질 김동렬 2005-11-19 13549
1919 좋은 아마추어 박근혜 김동렬 2004-04-25 13556
1918 518이 공휴일로 지정되는 그날까지 image 김동렬 2004-05-18 13557
1917 누가 미쳤는가? 김동렬 2004-06-23 13558
1916 오마이의 로맨스 조선의 불륜 김동렬 2004-06-02 13564
1915 정동영과 박근혜의 하수회담 김동렬 2004-05-09 13568
1914 행복의 비결 image 김동렬 2017-04-01 13568
1913 롤플레잉이라는 단어에서 영감이 많이 떠올랐습니다 아다리 2002-09-24 13572
1912 퇴계와 율곡의 비교 한번 더 2005-09-08 13573
1911 빼빼로데이 유감에 유감 김동렬 2005-11-11 13574
1910 박정희를 넘어서야 미래가 있다 김동렬 2004-08-13 13578
1909 윤여준 별거 아님 image 김동렬 2004-04-18 13579
1908 고개 숙인 1억, 배짱 튕기는 100억(혹은 수백억). 스피릿 2003-12-11 13581
1907 박상천과 동교동 떨거지들의 '의도적 오해' 스피릿 2003-05-14 13592
1906 노무현 한방으로 사태평정 김동렬 2005-07-04 13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