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4619 vote 0 2007.10.25 (23:06:46)

구조란 무엇인가?

어원으로 보면 구조(構造)의 구(構)는 목재를 정(井)자 모양으로 켜켜이 쌓아올린 것이고 조(造)는 짓는다, 일의 시작을 알려서 진행한다는 뜻이 있다. 즉 구조는 켜켜이 쌓아서 짓는 것이다. 하나씩 쌓아가면서 진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쌓을 수 있느냐’가 문제로 된다. 원자론에서 원자의 의미는 더 이상 쪼갤 수 없다는 것이다. 왜 쪼갠다는 개념이 문제로 되는가? 만약 쪼개진다면 쌓을 수 없다. 쌓아올린 건축이 무너지지 않는 것은 쪼개지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쪼개지지 않는다면 그래도 역시 쌓을 수 없다. 큰 바위나 큰 나무로 집을 지을 수 없다. 작은 벽돌이나 작은 서까래로 잘라야 쌓을 수 있다. 쪼개져도 쌓을 수 없고 쪼개지지 않아도 쌓을 수 없다.

그러므로 구조란 쪼개지면서도 동시에 쪼개지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그래야 쌓을 수 있다. 그렇다. 세상은 쪼개지면서도 동시에 쪼개지지 않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것이 구조다.

그것은 무엇인가? 쪼개지지 않는 것은 존재의 비반복성, 비순환성, 불연속성, 비가역성, 비분할성이다. 쪼개지는 것은 반복성, 연속성, 순환성, 가역성, 분할성이다. 이것이 구조의 두 가지 성질이다.

질서(쪼개짐).. 연속성, 반복성, 분할성, 순환성, 가역성
무질서(쪼개지지 않음).. 불연속성, 비반복성, 비분할성, 비순환성, 비가역성

쪼개지는 성질이 질서라면 쪼개지지 않는 성질이 무질서다. 각각 질량보존의 법칙과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을 성립시킨다. 쪼개지므로 우주는 자신을 건축할 재료를 조달할 수 있고 쪼개지지 않으므로 우주는 지탱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20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073
1352 근원의 것 김동렬 2021-04-19 3310
1351 MSG는 몸에 좋다 김동렬 2021-04-16 3310
1350 그림의 몬티홀 image 김동렬 2019-08-15 3310
1349 탈북자 공민권 박탈하라 2 김동렬 2020-06-15 3309
1348 신과 나 3 김동렬 2020-04-12 3309
1347 사색문제의 접근 image 4 김동렬 2020-12-08 3307
1346 트럼프가 못 이기는 이유 김동렬 2020-10-20 3307
1345 통제가능성의 이해 3 김동렬 2019-09-14 3307
1344 화엄과 법화 1 김동렬 2020-09-11 3306
1343 몬티홀의 수수께끼 1 김동렬 2019-08-17 3305
1342 교육은 물리적 제압이 정답이다 2 김동렬 2019-02-20 3305
1341 구조론의 깨달음 1 김동렬 2019-11-27 3303
1340 구조론은 수학이다 1 김동렬 2019-05-26 3303
1339 지식권력의 문제 김동렬 2022-01-08 3301
1338 원시인의 성생활 김동렬 2021-06-28 3301
1337 나비효과의 오류 김동렬 2021-05-16 3300
1336 원인과 결과 김동렬 2021-04-29 3299
1335 1초 직관 구조론 김동렬 2023-05-15 3298
1334 구조와 권력 김동렬 2022-07-27 3298
1333 철학은 언어로부터 시작된다. 2 김동렬 2018-10-10 3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