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2357 vote 0 2007.07.30 (19:01:35)

[개인적인 글입니다]

세상은 둘로 되어 있다. ‘▷▷’와 ‘▷◁’다. ‘▷▷’는 질서고  ‘▷◁’는 가치다.  ‘▷▷’는 에너지고 ‘▷◁’는 정보다. ‘▷▷’는 둘이 한 방향을 보고 있고 ‘▷◁’는 둘이 서로 마주보고 있다.

구조는 ‘▷◁’의 세계다. 그러나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운 지식은 모두 ‘▷▷’다. 놀랍게도 우리는 지금까지 세상의 절반만을 보고 있었던 것이다. 나머지 절반의 세계에도 이제는 눈을 떠야 한다.

‘▷▷’는 모을수록 힘이 커진다. 1+1=2가 된다. 우리가 아는 당연한 상식의 세계다. 그러나 이것이 전부일까? 진실한 것은 ‘▷◁’다. ‘▷◁’는 둘의 밸런스가 맞아야 한다. 큰 것이 좋은 것이 아니라 일치하는 것이 좋은 것이다.

하늘과 땅, 밤과 낮, 여름과 겨울, 남자와 여자, 플러스와 마이너스는 ‘▷◁’로 되어 있다. 소통하는 것은 모두 ‘▷◁’로 되어 있다. 예쁜 것, 사랑스러운 것, 아름다운 것, 가치있는 것은 모두 ‘▷◁’로 되어 있다.

‘▷◁’의 의미는 ‘▷▷’가 모을수록 힘이 커지는 것과 달리 둘의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둘 다 함께 쓰러진다는데 있다. 부부 중에 하나가 역할을 잃으면 나머지 한쪽도 쓸모가 없어진다.

‘▷▷’는 클수록 좋고 ‘▷◁’는 밸런스가 맞을수록 좋다. 전혀 다른 두 세계가 있는 것이다. 구조론은 ‘▷◁’의 세계를 탐구한다. 마주보는 ‘▷’와 ‘◁’ 사이에 무엇이 있는가? 정보가 있다.

젓가락은 왜 젓가락 모양인가?  젓가락 ‘▷’와 손가락 ‘◁’와 마주보고 있기 때문이다. 젓가락 속에는 손가락에 대한 정보가 숨어 있다. 마찬가지로 숟가락 끝의 타원형 모양은 입술의 모양을 닮고 있다.

컵이 ⊂모양인 이유는 사람의 목구멍이 ⊃모양이기 때문이다. 둘은 마주보고 대칭된다. 컵에는 그 컵을 사용하는 사람에 대한 정보와 그 컵에 담겨지는 물에 대한 정보가 숨어 있다.

모든 관절부분, 모든 힘의 전달부분, 모든 만나고 접촉하고 소통하는 부분에는 ‘▷◁’의 원리가 숨어 있다. 세상은 온통 ‘▷◁’의 사슬이다. 꽃잎 두 장도 ‘▷◁’이고 다리의 두 교각도 ‘▷◁’이다.

‘▷◁’은 마주보고 있다. 마주보아야 이루어진다. 마주보아야 통한다. 사랑이 이루어지고 미(美)가 이루어지고 선(善)이 이루어진다. 구조론은 마주보기다. 마주보며 손 잡고 함께 일어서기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934 어떤 방문자 김동렬 2008-10-13 17187
1933 신과 나 김동렬 2008-10-05 15596
1932 스승과 제자 김동렬 2008-10-02 15449
1931 구조론의 세계로 들어가기 김동렬 2008-09-30 15348
1930 구조론의 가는 길 김동렬 2008-09-26 15212
1929 미국의 부도 김동렬 2008-09-22 16710
1928 신과 나 그리고 세계인격 김동렬 2008-09-20 13303
1927 사랑의 구조 김동렬 2008-09-12 15619
1926 기독교도는 왜 사랑하지 않을까? 김동렬 2008-09-09 16540
1925 깨달음은 의사소통 수단이다 김동렬 2008-09-08 15330
1924 권정생, 이오덕, 김용택의 진정성? 김동렬 2008-09-05 16298
1923 깨달음의 구조(수정) 김동렬 2008-09-03 14420
1922 개념의 구조 김동렬 2008-09-01 14120
1921 공룡의 멸종원인 2 김동렬 2008-09-01 16483
1920 깨달음과 구조론 김동렬 2008-08-30 11581
1919 구조론과 깨달음 김동렬 2008-08-27 12189
1918 구조론 개념도 image 김동렬 2008-08-25 20100
1917 구조주의 양자론 김동렬 2008-08-19 10721
1916 예술의 본질 김동렬 2008-08-14 18968
1915 깨달음은 언제 소용되는가? 김동렬 2008-08-05 16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