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537 vote 0 2012.01.04 (22:48:02)

20111229051208386550460.jpg



왜 두더지는 눈이 퇴화했을까?

왜 동굴생물은 눈이 퇴화했을까?


*** 라마르크설 - 눈을 사용하지 않아서 퇴화했다.

*** 돌연변이설 - 우연히 눈 나쁜 넘이 살아남았다.


*** 구조론의 상호작용설 - 원래 유전체계 안에 빛이 있거나 없는 환경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갖추어져 있었다.


이러한 상호작용설의 의미는? 


대부분의 생물이 지능이 낮은 것은 애초에 지능이 낮도록 세팅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즉 뇌가 쓸데없이 더 많은 자원을 가져가지 않도록 보수적인 디폴트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것이다. 한정된 자원을 뇌가 다 가져가 버리면 다른 부분은 손해잖아. 


어차피 자원은 한정되어 있고 동굴 속에서 빛도 없는데 눈이 자원을 상당히 가져가 버리면 나머지 부분에는 돌아갈 몫이 없으므로 두더지나 동굴생물은 눈이 퇴화되도록 세팅되어 있었던 것이다. 즉 두더쥐가 땅을 파는 성질과 눈의 퇴화는 세트로 결정된 것이다. 이때 외부환경과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쪽이 많은 자원을 가져간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4]삐따기

2012.01.05 (09:27:18)

퇴화란 말은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퇴화가 곧 진화니까요. 퇴화랑 진화는 같은 말.

 

두더지는 눈이 나쁘다? 누구보다? 언제보다?

 

대부분의 생물이 지능이 낮은 것은 애초에 지능이 낮도록 세팅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모든 생물이 하나의 세팅으로 되어있다는 것인지요, 아니면 모두 다른 세팅이 되어있단 말씀인지 궁금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470
426 과학자는 과학적 설명을 해야 김동렬 2017-12-08 1863
425 생명탈핵실크로드 21 - 영광원전을 감시하는 시민들 image 수원나그네 2018-02-28 1847
424 무한이란 무엇인가? image chow 2022-06-29 1846
423 역행보살 이인수 image 수원나그네 2018-08-10 1846
422 생명로드40- ‘지구생명헌장’을 전하러 가는 ‘동방박사’ [가톨릭평론] 제20호 수원나그네 2019-05-15 1844
421 좋은 작품의 조건. systema 2019-05-04 1840
420 환경이 행동을 규정한다. 김동렬 2017-11-14 1838
419 구조론 벙개 4월 21일 토요일 image 6 수원나그네 2018-04-19 1838
418 전략의 기본은 내가 보편성을 차지하고 상대가 특수성에 매몰되게 유도하는 것 1 회사원 2020-12-03 1836
417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1 오리 2023-07-19 1835
416 독립운동세력이 복권해야 image 2 수원나그네 2019-06-07 1835
415 형식의 의미 chowchow 2021-12-29 1834
414 생명탈핵실크로드 20 - 복직과 순례연기 6 수원나그네 2018-02-23 1834
413 생각의 방향성을 탐구하다. systema 2017-11-04 1832
412 4대강 검증 개시 image 수원나그네 2018-05-05 1830
411 올해는 북극이 춥고 남쪽이 따뜻하다 image 1 김동렬 2020-01-08 1828
410 일상의 구조론(1) - 일반인들에게 쓰는 글 2 이상우 2018-12-26 1822
409 아무님 인터뷰 진행 9 mowl 2020-07-27 1815
408 박찬호와 김병현의 차이점 dksnow 2023-01-25 1814
407 일원론의 충격 1 systema 2023-01-18 1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