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540 vote 0 2012.01.04 (22:48:02)

20111229051208386550460.jpg



왜 두더지는 눈이 퇴화했을까?

왜 동굴생물은 눈이 퇴화했을까?


*** 라마르크설 - 눈을 사용하지 않아서 퇴화했다.

*** 돌연변이설 - 우연히 눈 나쁜 넘이 살아남았다.


*** 구조론의 상호작용설 - 원래 유전체계 안에 빛이 있거나 없는 환경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갖추어져 있었다.


이러한 상호작용설의 의미는? 


대부분의 생물이 지능이 낮은 것은 애초에 지능이 낮도록 세팅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즉 뇌가 쓸데없이 더 많은 자원을 가져가지 않도록 보수적인 디폴트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것이다. 한정된 자원을 뇌가 다 가져가 버리면 다른 부분은 손해잖아. 


어차피 자원은 한정되어 있고 동굴 속에서 빛도 없는데 눈이 자원을 상당히 가져가 버리면 나머지 부분에는 돌아갈 몫이 없으므로 두더지나 동굴생물은 눈이 퇴화되도록 세팅되어 있었던 것이다. 즉 두더쥐가 땅을 파는 성질과 눈의 퇴화는 세트로 결정된 것이다. 이때 외부환경과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쪽이 많은 자원을 가져간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4]삐따기

2012.01.05 (09:27:18)

퇴화란 말은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퇴화가 곧 진화니까요. 퇴화랑 진화는 같은 말.

 

두더지는 눈이 나쁘다? 누구보다? 언제보다?

 

대부분의 생물이 지능이 낮은 것은 애초에 지능이 낮도록 세팅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모든 생물이 하나의 세팅으로 되어있다는 것인지요, 아니면 모두 다른 세팅이 되어있단 말씀인지 궁금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739
427 확률은 바꿀 수 있다. 현강 2020-08-13 1184
426 구조론 목요모임(서울역) image 오리 2020-08-13 1188
425 밖이 답이지만 그 밖은 우리가 찾아나서야 한다. 현강 2020-08-14 1138
424 제대로 된 인과율은 5다. 현강 2020-08-15 1280
423 메타학문의 의미 다음 2020-08-16 1592
422 환원주의 대 창발주의 image 1 다음 2020-08-17 2477
421 좋은 조건 다음 2020-08-18 1911
420 전국토를 정원으로 만들자 ahmoo 2020-08-19 1218
419 이번주 구조론 모임은 취소 되었습니다. 3 오리 2020-08-19 1375
418 파인만의 이중성 2 이금재. 2020-08-19 1586
417 오랫만입니다~ 그리고 원전위험공익정보센터 기부희망 image 1 수원나그네 2020-08-21 1332
416 오늘이 의사 파업일입니다. 1 회사원 2020-08-21 1322
415 텐서 2 현강 2020-08-21 1537
414 학습에 대하여 현강 2020-08-21 1295
413 양자얽힘의 부정, 아인슈타인의 유령작용 3 현강 2020-08-22 1760
412 물리학의 철학 대체 가능성 1 다음 2020-08-22 1745
411 이번주 구조론 모임은 취소 되었습니다. 3 오리 2020-08-25 1347
410 두 개의 반지 image 1 현강 2020-08-26 1353
409 큰 수의 원리 1 현강 2020-08-30 1316
408 라이다가 안 되는 이유 image 9 이금재. 2020-08-30 2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