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582 vote 0 2012.01.04 (22:48:02)

20111229051208386550460.jpg



왜 두더지는 눈이 퇴화했을까?

왜 동굴생물은 눈이 퇴화했을까?


*** 라마르크설 - 눈을 사용하지 않아서 퇴화했다.

*** 돌연변이설 - 우연히 눈 나쁜 넘이 살아남았다.


*** 구조론의 상호작용설 - 원래 유전체계 안에 빛이 있거나 없는 환경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갖추어져 있었다.


이러한 상호작용설의 의미는? 


대부분의 생물이 지능이 낮은 것은 애초에 지능이 낮도록 세팅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즉 뇌가 쓸데없이 더 많은 자원을 가져가지 않도록 보수적인 디폴트값으로 세팅되어 있는 것이다. 한정된 자원을 뇌가 다 가져가 버리면 다른 부분은 손해잖아. 


어차피 자원은 한정되어 있고 동굴 속에서 빛도 없는데 눈이 자원을 상당히 가져가 버리면 나머지 부분에는 돌아갈 몫이 없으므로 두더지나 동굴생물은 눈이 퇴화되도록 세팅되어 있었던 것이다. 즉 두더쥐가 땅을 파는 성질과 눈의 퇴화는 세트로 결정된 것이다. 이때 외부환경과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쪽이 많은 자원을 가져간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4]삐따기

2012.01.05 (09:27:18)

퇴화란 말은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퇴화가 곧 진화니까요. 퇴화랑 진화는 같은 말.

 

두더지는 눈이 나쁘다? 누구보다? 언제보다?

 

대부분의 생물이 지능이 낮은 것은 애초에 지능이 낮도록 세팅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모든 생물이 하나의 세팅으로 되어있다는 것인지요, 아니면 모두 다른 세팅이 되어있단 말씀인지 궁금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408
114 구조론으로 본 영어 어원(엑셀파일로 정리함) 1 오세 2010-05-16 8437
113 팬택과 노키아가 망한 이유 3 챠우 2014-11-30 8453
112 징병제가 낫다.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6 8469
111 결혼의 조건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10-06-12 8479
110 나쁜감독, 김기덕 바이오그라피(1996-2009) image 11 양을 쫓는 모험 2009-11-28 8514
» 두더지의 눈 image 1 김동렬 2012-01-04 8582
108 문제란 무엇인가? image 6 양을 쫓는 모험 2010-07-16 8587
107 [re] 문명과 대중 그리고 지식 1 김동렬 2006-03-01 8616
106 범어와 한국어의 유사성 image 3 김동렬 2014-03-18 8628
105 거북선의 진실 image 3 김동렬 2015-10-17 8630
104 에디슨의 명언 image 5 김동렬 2013-12-12 8631
103 콜럼버스의 달걀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0-12-26 8637
102 흑인이 백인처럼 문명을 발달시키지 못한 이유 10 김동렬 2017-08-14 8663
101 마루치 아라치의 기원 2 김동렬 2011-02-14 8692
100 [re] 질문있습니다 ^^ 2 김동렬 2006-05-06 8725
99 조직 원리 image 4 눈내리는 마을 2010-08-04 8734
98 아해 오감도 이상 image 1 김동렬 2014-04-28 8754
97 먼 미래에 백인이 멸종할수도 있지 않을까요?? image 5 가혹한너 2009-01-31 8805
96 질문있습니다 ^^ 강도 2006-05-06 8808
95 세종대왕은 골프를 쳤을까? image 10 김동렬 2011-12-06 8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