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개인적인 글입니다]

인간의 행동은 긴장으로 촉발되고 이완으로 보상된다. 그리고 그 사이에 밸런스가 있다. 긴장이 동기유발이면 밸런스가 과제수행이고 릴렉스가 성과보상이다. 이 셋을 한 줄에 꿰어낼 때 이야기는 완성된다.

옛 친구를 만났을 때 반가움이 사무쳐 정신이 번쩍드는 것이 긴장이면 마주앉아 허물없는 대화를 나누는 것이 밸런스이고 그럴때 엄마 품의 아기처럼 혹은 고향에 돌아온 것처럼 편안하게 이완되는 것이 릴렉스다.

그 긴장의 출발점과 이완의 종결점이 다시 만나 동그라미를 완성시킬 때 이야기가 얻어진다. 완전히 정신차릴 수 있으면서 완벽한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완전히 릴렉스할 수 있다면 그것이 곧 깨달음의 경지다.    

긴장은 중앙이 지방을 통제하고 뇌가 몸을 통제하는 것이다. 이완은 지방이 중앙을 통제하고 몸이 뇌를 통제하는 것이다. 문제는 이완할 수 있는가이다. 릴렉스하기 어렵다. 릴렉스는 밸런스를 거쳤을 때 한하여 유의미하기 때문이다.

긴장은 병사들이 정렬하여 연단 위의 대장을 바라봄이고 이완은 병사들이 제멋대로 흩어져 놀되 대장의 통제권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완을 위해서는 밸런스가 필요하다. 병사와 대장 사이에 완벽한 소통이 있어야 이완될 수 있다.

긴장의 목적은 밸런스의 유지에 있고 밸런스에 도달하면 이완할 수 있다. 소통될 때 릴렉스할 수 있다. 최고의 팀은 구성원이 제멋대로 흩어져 각개약진하되 대장이 정한 금지선을 넘어서지 않으면서 최고의 팀플레이를 하는 것이다.

완전히 이완된 상태에서 최고의 실력이 나온다. 그것은 지방이 중앙을 통제하는 것이고, 병사 개개인이 대장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팀원 간에 완벽한 밸런스와 완벽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밸런스 없는 릴렉스는 팀을 붕괴시킨다. 밸런스 없는 긴장은 팀을 경직시킨다. 긴장이라는 노력이 릴렉스라는 보상으로 결실하기 위해서는 밸런스라는 고지를 넘어야 한다. 내 안에 이러한 구조를 갖추는 것이 이야기의 획득이다.

내 안의 이야기를 모뎀삼아 자연의 완전성을 포착할 때 인간은 완전히 긴장한다. 전율한다. 내 안의 이야기와 자연의 이야기가 소통할 때 밸런스가 얻어진다. 이를 토대로 인류의 집단지능과 접속할 때 완전히 이완된다. 깨달음의 경지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9126
1905 구조주의 논리학 김동렬 2008-06-18 9273
1904 역설의 논리학 김동렬 2008-06-16 14819
1903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김동렬 2008-06-11 11577
1902 구조론의 가치는? 김동렬 2008-06-07 10569
1901 예술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8-05-23 11166
1900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8-05-20 11852
1899 구조주의 진화론 김동렬 2008-05-16 9567
1898 참교육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8-05-03 15878
1897 집중력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8-05-03 16309
1896 창의의 구조 1 김동렬 2008-05-01 10843
1895 구조론 개념도 김동렬 2008-04-30 11187
1894 구조론의 탄생 김동렬 2008-04-18 12723
1893 두문불출 김동렬 2008-04-17 14366
1892 구조론의 교육적 의미 김동렬 2008-04-12 14481
1891 구조론은 새로운 진보의 유전인자다 김동렬 2008-03-31 12952
1890 구조주의 선언 김동렬 2008-03-29 12859
1889 구조론 집필계획 김동렬 2008-03-28 11417
1888 구조론의 의미 김동렬 2008-03-14 13008
1887 나는 왜 사랑을 말하는가? 김동렬 2008-03-10 15334
1886 구조체의 이해(업데됨) image 김동렬 2008-03-06 14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