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313 vote 0 2006.11.18 (15:26:59)


규구(規矩)는 중국 신화시대 복희씨의 발명으로 알려진 콤파스와 곱자다. 곱자는 공고 건축과 학생들이 들고 다니던 T자나 같은데 ㄱ자로 꺾여 있어서 직각을 구하는데 쓰인다.

언뜻 생각하기에 직각 구하기가 쉽지 싶지만 맨바닥에서 직각을 구하려면 반드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해야 한다. 그냥 적당히 생각해서 대충 직각을 그려놓고 그걸로 대형 건물을 지으면 아주 황당한 일이 생긴다.  

규구는 목수의 상징물이다. 규구준승(規矩準繩)이라 해서 콤파스, 곡척, 수준기, 먹줄 이 네가지가 있어야 비로소 목수 노릇을 할 수 있다. 이를 줄여서 규구라고 하는 것이다.

기술이 좋아도 규구준승 이 네가지가 없으면 아무 것도 못한다. 지식만으로 안 되고 반드시 연장이 있어야만 한다. 오늘날 지식도 강단이라는 시스템 안에서 하나의 연장이 되었다.

연장이 없는 사람과는 장벽을 쌓아놓고 소통을 거부한다. 아무리 지식이 있어도 연장을 휘두르는 사람을 이길 수는 없으니 이것이 학계의 병폐다.

문제는 규범이나, 규칙이나, 규율이나, 규정이나, 규찰이나 이런 말이 다 규구에서 나온 것인데 규구를 모르면서 규칙을 알고, 규율을 알고, 규정을 알고, 규찰을 알고, 규범을 알 리가 있느냐다.  

규칙도 규율도 규정도 규찰도 규범도 법규 상규 예규도 모르는 사람과 무슨 대화를 하겠느냐는 거다. 규는 콤파스다. 콤파스는 하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그랗게 묶어버린다.

규칙 규율 규정 규찰 규범 법규 상규 예규는 하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일한 반지름의 거리에 속하게 인간들을 묶어버리는 것이다.

콤파스로 땅바닥에 동그라미를 그려놓고 그 땅바닥에 그어진 금 밖으로 나가지 말라고 하는 것이 곧 규칙이나 규율이나 규정이나 규찰이나 규범인 것이다.

이러한 본질에 대한 인식이 없이 함부로 법규를 논하고 규범을 논하고 규정을 논한들 공염불이다. 항상 그렇듯이 본질을 알아야 한다. 출발점을 알아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28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003
980 사람을 살려주세요. image 김동렬 2004-04-13 15254
979 한나라당 사이버 알바의 고백!(펌) 김동렬 2002-11-28 15255
978 아무생각 없스미 image 김동렬 2003-07-19 15255
977 노무현은 언제나 옳은가? 김동렬 2002-11-11 15261
976 한나라당의 입큰 개구리들 image 김동렬 2003-08-23 15261
975 노무현이 위험하다 정지운 2002-12-26 15263
974 잡초들의 운명 image 김동렬 2003-05-10 15267
973 구조론은 쉽다 김동렬 2008-11-28 15268
972 보라! 지금 우리들이 무슨 짓을 저질렀는가? 김동렬 2002-12-20 15270
971 무현아 웃지마라 노빠가 있다. image 김동렬 2003-06-16 15272
970 정신적 대통령 이회창 만쉐이~ image 김동렬 2003-06-29 15272
969 세 가지 전쟁 7 김동렬 2010-05-05 15272
968 악소리 한번 내는 전여옥 김동렬 2005-02-15 15278
967 서프라이즈가 개혁을 견인할 수 있을꽈? image 김동렬 2003-07-09 15279
966 조선일보 김대중편집인 아직 안죽었구나? 김동렬 2003-01-14 15281
965 정대철이 제꺽 물러나기 바란다. image 김동렬 2003-07-10 15281
964 현대성 - 핵심요약 김동렬 2007-08-12 15282
963 음담패설 하지마라. image 2 김동렬 2016-10-31 15282
962 좀더 기다려 봐야죠...성급한 주장 아닙니까? DjDj 2002-11-04 15283
961 개벽이도 갔슈. image 김동렬 2003-06-18 15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