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양을 쫓는 모험
read 4069 vote 0 2011.11.30 (01:23:28)

디자인은 '위하여(for)', 파인아트는 '의하여(of)'.

디자인은 '밸런스', 파인아트는 '에너지'.

디자인은 '귀납', 파인아트는 '연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4]LarJY

2011.12.05 (00:34:48)

좀 더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을까요?

요즘 디자인의 역사의 방향성에 대해 고민하는 중 입니다

디자인의 역할이 과연 진보하고 있는가 말이죠.

프로필 이미지 [레벨:15]aprilsnow

2011.12.05 (09:59:02)

분야의 실행 특성상 맞는 얘기지만,(공감하오)

결국 모든 창작의 과정에는 다 포함될 수 밖에 없지 않소?

위대한 디자인, 적절한 디자인에는  결국 반드시 of가 선행되어야 함을.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양을 쫓는 모험

2011.12.05 (12:15:57)

위대한 디자인에는 of 가 선행되어야 함에 공감하오. 그것은 컨텐츠의 생명력과도 관련된 얘기. 컨텐츠가 긴 시간 사람들로부터 사랑받고, 자체 생명력으로 나아가려면 of 가 있어야 하오.


위에 언급한 것은 '위대한 예술, 위대한 디자인' 이 아니라, 예술의 본질, 디자인의 본질에 관한 얘기. 디자인은 '합목적성'에 존재 이유가 있소. 목적을 향해 진행되는 것이 for 라는 의미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4]LarJY

2011.12.05 (16:01:31)

합목적성이라 함은 기능이나 그 디자인이 추구하는 것을 충실하기 위한 것을 말하시는건가요?

아니면 잘 팔리기 위한 합목적성을 말하시는건가요?

 

알듯 말듯한 디자인...ㅜ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양을 쫓는 모험

2011.12.05 (16:25:47)

디자인이 추구하는 것은 메시지 전달이고 대부분 그 메시지가 제품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파인아트는 하나의 작품이 보는 사람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지만, 디자인은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하지 못하면 실패한 디자인 입니다.


일전에도 몇 번 언급했지만, 파인아트의 과정은 작가가 외부의 사건이나 역사의 흐름 등에 영감을 얻어 그 반작용이 예술로 승화되는 것이고(연역), 디자인은 제품 > 컨셉 > 자료수집 > 섬네일 스케치 >  러프스케치 > Comprehensive Design > 컴퓨터 작업 > 완성의 과정 입니다.(귀납) 이것을 다섯 단계로도 할 수 있겠지만...


디자인은 대중이 원하는 형태나 색상을 분석하여 이미지의 모델을 만들고, 모델에 맞게 이미지를 구체화 시키는 과정 입니다. 결국 메시지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디자인이 존재 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8541
1778 뭘까요? image 17 김동렬 2013-08-16 5501
1777 글을 잘 쓰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3-12-15 5492
1776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3-22 5489
1775 호부견자의 심리적 메커니즘 2 오세 2011-02-27 5478
1774 생각해볼만한 거짓말 8 김동렬 2013-09-23 5475
1773 CEO의 동기부여 image 11 냥모 2014-02-10 5465
1772 유명한 UFO 사진 image 5 김동렬 2013-04-04 5465
1771 삶의 일관성을 일깨우는 교육 image 5 ahmoo 2009-06-10 5457
1770 노무현, 님의 설정을 권하오. ░담 2010-01-15 5448
1769 프로이드의 열 두 가지 거짓말 1 김동렬 2015-05-11 5431
1768 완전함에 의해서. LPET 2010-02-22 5430
1767 조경란과 주이란 1 엘보우 2008-10-25 5430
1766 15개월 아기도 공정성 판단? 2 김동렬 2011-10-11 5425
1765 하늘 만지기 1 필부 2008-08-20 5422
1764 약자공격은 인간의 원초적 본능 image 9 김동렬 2018-07-19 5419
1763 부바키키 언어 계통수 발견하기. ░담 2011-03-23 5419
1762 가난한 사람들의 잘못된 결정 2 김동렬 2013-11-26 5418
1761 <내남자> 1 하루 2009-02-08 5414
1760 구조론 질문 1 피갈회옥 2008-07-18 5406
1759 흉노는 누구인가? image 3 김동렬 2016-10-07 5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