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우월감과 열등감의 나침반을 가진 자들이 있다. 상종할 가치가 없는 자들이다. 자랑스러움과 부끄러움의 나침반을 가진 자들이 있다. 역시 좋지 않다. 자연스러움과 어색함의 나침반을 가진 이들이 있다. 대화할 수 있다.

그것은 소통의 나침반이다. 자연스러움으로 통하고 어색함으로 막힌다. 이 나침반을 가진 이들과 소통할 수 있다. 대화할 수 있다. 이들은 말이 통하고 배짱이 맞는 사람들이다.

우월감과 열등감의 나침반은 나약한 양떼가 무리들 속에 섞이는 방법으로 늑대의 발톱을 피하는 기술이다. 남보다 앞서가지도 말고 남보다 뒤처지지도 말고 적당히 무리에 섞여 있음으로써 잡아먹힐 확률을 낮출 수 있다.

이는 나약한 짐승의 기술이지 위대한 인간의 지혜는 아니다. 우월감과 열등감의 나침반 버려야 한다. 남보다 앞서 있대서 뽐낼 일 아니고 남보다 뒤져 있대서 두려울 일이 아니다.

자랑스러움과 부끄러움의 나침반은 쏘가리 수컷이 산란기에 혼인색으로 무장하여 암컷을 유혹하는 기술이다. 영양 수컷은 긴 뿔을 뽐내고 원숭이 수컷은 빨간 궁둥이를 뽐내어 자신의 건강함을 자랑한다.

암컷은 부끄러움으로 무장하여 처음 만나는 건강하지 않은 수컷을 성급하게 선택하는데 따른 시행착오를 피하고자 한다. 수컷의 우쭐댐이나 암컷의 수줍어함은 수억년간 진화의 흔적에 지나지 않는다.

자연스러움과 어색함을 아는 것이 인간과 동물의 차이다. 인간이 서로를 배려하고 멋과 미와 선과 자유를 찾는 것은 그것이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자연스러움은 매 순간 그 상황을 완성시키고자 하는 의지다.

우월감과 열등감이 생존의 나침반이라면 자랑스러움과 부끄러움은 생식의 나침반이다. 자연스러움과 어색함은 소통의 나침반이다. 인간만이 유독 이 나침반을 발달시켜온 것은 인간만이 소통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통하기 위해서는 코드가 맞아야 한다. 언어가 같아야 한다. 나침반이 일치해야 한다. 소통의 나침반을 가져야 한다. 완성되어야 통할 수 있다. 완성과 미완성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있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18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91
1779 [단상] 칼융님의 글을 읽고 김동렬 2007-06-30 11335
1778 김두관과 이해찬 김동렬 2007-06-29 11337
1777 김두관, 참여정부가 암흑기였다? 김동렬 2007-06-28 18819
1776 인간은 평등한가? 김동렬 2007-06-28 14250
1775 자유민이 될것인가 노예가 될것인가? 김동렬 2007-06-27 12036
1774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06-26 12685
1773 [단상] 황진이에서 민중적 리얼리즘 찾기 김동렬 2007-06-26 13090
1772 세상을 이해하는 기본 김동렬 2007-06-23 11488
1771 "당신은 감시당하고 있다" 김동렬 2007-06-22 12055
1770 [단상] 뜨는 달과 지는 달 image 김동렬 2007-06-21 13168
1769 이해찬이냐 유시민이냐 김동렬 2007-06-21 10546
1768 “황진이의 한계” 김동렬 2007-06-19 11036
1767 더러운 오연호들 김동렬 2007-06-19 10649
1766 구조론이란 무엇인가(수정) 김동렬 2007-06-14 7651
1765 수학의 언어는 무엇인가? 김동렬 2007-06-11 13788
1764 구조론은 왜 5인가? 김동렬 2007-06-08 10991
1763 아스팔트 위의 노무현 김동렬 2007-06-06 10607
1762 구타유발자들을 보고 김동렬 2007-06-05 11149
1761 "인간이 그립다" 김동렬 2007-05-31 10236
1760 마주 서기(수정) 김동렬 2007-05-28 12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