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5913 vote 0 2006.02.04 (18:57:37)



학문은 세계의 질서를 파악한다. 예술은 그 질서를 나의 것으로 만든다. 그러나 가능한가?

진리는 위대하지만 저 높은 곳에 있다. 그 곳은 높고 멀어서 인간의 손이 닿지 않을 수 있다. 그렇다면? 진리가 인간과 별개로 존재한다면?  

그래서는 안된다. 진리와 나를 연결시켜줄 그 무엇이 존재해야 한다. 내 안에 저 높은 곳의 진리와 공명하는 그 무엇이 있어야 한다.

학문이 단지 진리를 파악하는 데서 끝난다면 허무할 뿐이다. 재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최종적으로 나의 사랑을 완성시키지 않으면 진리도 의미없다.

학문은 세계의 질서를 파악한다. 그 질서는 인간의 삶과도 공명한다. 그것을 우리는 진리라 부른다. 인간은 그 진리를 통하여 가치를 유도한다.

예술은 진리 안에서 ‘가치’라는 정수를 뽑아내어 인간의 삶에 배달한다. 그러한 배달과정을 우리는 ‘의미’라고 부른다.

● 학문은 세계의 질서를 파악한다. 그것이 곧 진리다.
● 인간은 가치를 배달하는 방법으로 불멸의 진리와 공명한다.
● 가치는 의미를 담보한다. 의미는 가치를 각자의 삶에 반영하는 것이다.
● 의미는 가치의 배달을 통하여 진리와 공명하게 함으로써 각자의 삶을 각자의 위치에서 각각 완성시켜 주기에 의미있다.
● 사랑이라는 방법으로 내 안에 반영된 세계의 질서를 재현하기에 성공할 때 각자의 존재는 완성된다.

만약 각자의 삶을 각자의 위치에서 제 각각 완성시켜 주지 않는다면? 다른 어떤 것을 위하여 나를 소모품으로 희생해야 한다면? 인간의 삶이 1회용의 인스턴트 커피 같은 존재라면? 진리도 가치도 의미도 필요없다.

각자의 삶을 각자의 위치에서 제 각각 완성시켜 주는 것. 그것이 사랑이다. 그것이 팝의 정신이다. 대중예술의 본질이다.

학문은 세계의 질서를 파악하는 것이다. 세계의 질서를 파악하기. 그것이 클래식의 정신이다. 예술은 그 질서를 자기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그것은 무엇인가? 신의 질서를 인간의 안에서 재현하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66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updateimage 7 김동렬 2024-06-12 929
1699 국민배우 몰락의 법칙 김동렬 2007-01-04 11446
1698 조정래 황석영 박경리(수정판) 김동렬 2007-01-03 10894
1697 황진이 대 미녀는 괴로워 김동렬 2006-12-31 11909
1696 DJ, 노무현 그리고 서프라이즈 김동렬 2006-12-28 11003
1695 고건씨 반노짓 해서 재미 좀 보셨습니까? 김동렬 2006-12-27 11964
1694 철학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6-12-27 10982
1693 단상 - 징병제가 낫다 김동렬 2006-12-26 12261
1692 우리가 잃어버린 것은 김동렬 2006-12-19 9860
1691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 김동렬 2006-12-13 11501
1690 귀염둥이 임종인류 김동렬 2006-12-09 11115
1689 미학의 역사 김동렬 2006-12-08 10797
1688 [단상] 자투리 이야기들 김동렬 2006-12-07 12742
1687 고흐와 고갱(수정함) image 김동렬 2006-12-04 11412
1686 비판적 지식인상과 이상주의적 지식인상 image 김동렬 2006-12-01 11804
1685 힘내라 김근태 김동렬 2006-12-01 12409
1684 김근태는 오늘도 안녕하신가? image 김동렬 2006-11-30 10085
1683 이상주의자가 되라 김동렬 2006-11-28 10714
1682 [단상] 노예의 시선과 주인의 시선 김동렬 2006-11-25 11620
1681 [단상] 조지오웰의 세계 김동렬 2006-11-23 11579
1680 [단상] 규구에 대해서 김동렬 2006-11-18 15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