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7394 vote 0 2005.09.06 (18:14:49)

 


퇴계는 넘치나 율곡은 없다


퇴계는 풍기군수 등 말직을 전전하다가 곧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조정이 부르면 마지못해 응했다가 곧 핑계를 대고 물러났다. 그러기를 무수히 반복하였다.


말년에 있었던 퇴계의 큰 벼슬은 대개 문서상으로만 이루어진 명목상의 것이다.


퇴계는 조정에서 별로 한 일이 없지만 그의 존재 자체가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훗날 퇴계가 키운 유림이 조정을 장악했음은 물론이다.


반면 율곡은 중앙관서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선조를 다그쳐 무수한 개혁안을 내놓았다. 불행하게도 그의 개혁안은 대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여기서 대비되는 두 인물의 정치스타일. 퇴계는 벼슬을 마다하고 물러남으로서 할 말을 했고, 율곡은 적극적으로 개혁안을 제시하고 임금을 가르쳤다.


어느 쪽이 더 나을까? 필자의 견해로는 둘 다 좋지만 율곡이 더 옳다. 참여지성의 전범은 퇴계가 아니라 율곡에 있다.


비록 선조가 율곡의 개혁안을 다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율곡이 끊임없이 조정에 긴장을 불어넣었기에 그나마 조선이 망하지 않고 500년간 해먹은 것이다.


오늘날 지식인 중에 퇴계는 많고 율곡은 없다. 물러나서 뒷말하는 자는 많고 나서서 개혁안을 제시하는 이는 없다.


완고한 원칙가는 많고 유연한 협상가는 없다. 왜인가? 율곡의 최선을 다하는 자세가 대단한 스트레스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긴장의 연속이다.


퇴계는 문제가 발생하면 책임을 지고 자신을 반성하며 물러났다. 율곡은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한걸음 먼저 내다보고 문제의 발생지점을 폭파하였다.


정치는 스트레스 그 자체다. 정치의 스트레스를 잘도 견뎌내는 뻔뻔스러운 인간들은 죄 악당이고, 그 스트레스를 못견뎌 하는 착한 인간들은 퇴계처럼 도망치고 만다.


퇴계는 쉽고 율곡은 어려운 것이다. 본래 그렇다. 정치 신경쓰다 위장병 걸려버린 필자 역시 퇴계처럼 도망치고만 싶으니.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26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99
6620 구조론의 첫 단추 김동렬 2023-12-23 1864
6619 생각의 도구 1 김동렬 2023-01-18 1865
6618 영웅 죽이기 스티브 잡스편 김동렬 2023-12-17 1866
6617 직관의 힘 김동렬 2023-12-06 1871
6616 긍정적 사고의 힘 1 김동렬 2023-12-21 1874
6615 길 힘 법 김동렬 2023-09-10 1876
6614 에너지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3-08-27 1877
6613 유인촌 막 나가네 김동렬 2023-12-03 1877
6612 훈요십조의 진실 image 김동렬 2023-12-13 1877
6611 권력과 의미 김동렬 2023-12-18 1879
6610 부정과 긍정 김동렬 2023-12-19 1879
6609 연결문제 김동렬 2023-02-12 1880
6608 구조문제 김동렬 2023-01-13 1888
6607 도구주의 관점 김동렬 2022-06-22 1899
6606 차별과 증오의 야만인 정치 김동렬 2023-07-23 1899
6605 본질지향에서 도구지향으로 김동렬 2022-04-23 1903
6604 힘과 짐 김동렬 2023-08-16 1904
6603 중국 축구 수수께끼 풀렸다 1 김동렬 2023-11-23 1904
6602 진화론의 완성도 김동렬 2022-12-08 1905
6601 물리적 실재 김동렬 2022-11-27 1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