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질문이 있어서 이곳에 질문을 드립니다.
저는 불교에 관심이 많습니다.
그래서 구조론으로 불교를 풀어낼 수 있는가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부분을 생각하다보니....아래 질문과 같이 그 연결고리를 풀어가는데에 있어서
억지로 맞추고 있는 것은 아닌가..싶어서 그것이 가능한지 확인하고 싶어서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1) 동렬님의 구조론에서 존재론과 인식론이 나오는데....
    구조론에서 나오는 인식론과 서양철학의 인식론은 같은 의미인가요.다른 의미인가요.?

 2) 보통 인식의 영역은 마음에서 기인한다고 하는데...
     구조론에서 마음을 (心) 우리말의 마음과 한자의 마음 심은 뜻이 조금 다르다고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마음과 마음 심이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요?
     이 둘이 뜻하는 바가 다른데 왜 마음으로 그냥 해석이 되는 가에 대해서....
     그 뜻하는 의미가 다르다면 한문 경전이 이미하는 바도 조금은 다르게 해석이 되는 것일까요...?

     마음을 구조론 형식으로 설명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그리고 불교에서는 색.수.상.행.식 - 오온으로 존재를 설명하는데....
     이 부분도 구조론으로 설명이 가능한지에 대해서도 여쭙습니다.


4) 불교에서 12연기 부분의 명색은 명과색으로서

     명(수.상.행.) = 정신 ㅡ  느낌
                                                  마음
                                                  심리현상

     색 = 파생물질  - 안.이.비.설.신.  +대상 =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


   이런식으로 12연기에 대한 설명과 존재를 해체하여 바라보는 관점은 연역적인 설명인지,
   귀납적인 설명인지에 대해서도 설명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설명을 살펴보면
   존재는 오온의 집합이다.라고 전제하여 놓고 그 오온을 다시 해체하여 그 기능들에 대해서 해부하여 들어가다보면 존재의 구성
   형태가 드러나게 되고, 그 구성 형태들의 모습은 오온에서 기인된 것임을 알고 오온의 최종단위인 법의 단위 색.수.상.행.식만이
   있음으로 존재는 무아라고 규명을 합니다. 
 
    이렇게  존재 자체를 해체하는 것을 보면 귀납법 같은데, 반면에 마음을 해체하는 것이 아니고 존재를 해체하는 것이고 보면은 
    조금 헷깔리기도 합니다.
    수행은 마음을 제어하는 것이기에 귀납이라고 생각은 해봅니다만은...
    

      조금 질문이 난해하기도 하고, 제가 궁금한 부분에 대해서 잘 설명이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불교에 대해서 구조론 형식으로 설명이 가능한지,불교와 구조론의 연결점은 어찌 풀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이해하기 쉽게 자세한 설명 부탁 드려도 될려는지 모르겠습니다.

      괜히 불교에 관한 질문을 드린 것은 아닌지 우려도 되지만....궁금합니다.
      불교를 새롭게 만들거나 잡학을 불교에 더 보태놓겠다는 것이 아니라
      다만 불교를 알고 설명하는데 구조론이 불교와 결합된다면 훨씬 설명과 의미 표현이 풍부해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고,
      요즘에 맞게 불교를 설명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때문 입니다.
      그리고 헷깔리는 부분도 정리하고 싶습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09.03.17 (14:18:08)

구조론 게시판을 살펴 주십시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100
2112 인생은 으하여 다 최선최석규 2023-08-20 2404
2111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3-08-16 2110
2110 [공지] 기업은행 구조론연구소 계좌 없음 김동렬 2023-08-15 2625
2109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3-08-02 2054
2108 중국에 대한 대한민국의 오해 -중국의 1억채 아파트 붕괴 dksnow 2023-07-31 2645
2107 인간의 수명 증가 이유 - 냉장시설 dksnow 2023-07-31 2346
2106 무량판 구조에서 펀칭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 chow 2023-07-30 2494
2105 집을 사도 보수가 되지 않는 사람이나 조건이 있나요? 1 서단아 2023-07-19 2607
2104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1 오리 2023-07-19 1876
2103 폭력과 매력 사이에 형식이 있다 2 dksnow 2023-07-11 3050
2102 쓰레드 후기 레인3 2023-07-10 2617
2101 차별하는 본능 극복 2 서단아 2023-07-08 2687
2100 문명과 21세기 image dksnow 2023-07-08 2364
2099 최근 프랑스 시위를 보며 2 서단아 2023-07-06 2942
2098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3-07-05 2284
2097 코로나 시기 아이들의 정서적 공백, 사회성 공백 3 이상우 2023-06-28 3637
2096 구조론의 내부개념 SimplyRed 2023-06-28 2882
2095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6-21 3620
2094 어느 새 바람에 알이랑 불어와 한을 곁에두고 날아가 최선최석규 2023-06-20 3723
2093 아이의 문제에 교사가 휘말릴 때 image 2 이상우 2023-06-13 4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