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마광수는 마음이 아니라 얼굴 보고 반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런데 얼굴과 마음이 뗄 수 있는 것일까? 나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얼굴은 표정을 담고 있다. 표정은 마음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므로 얼굴은 마음을 담고 있는 것이며 그 얼굴에서 그 마음을 읽지 못한다면 문제 있는 것이다.

###

부부는 닮는다는 말도 있는데 실제로 많은 커플들은 얼굴이 닮았다. 다만 젊었을 때는 그 점이 두드러지지 않을 뿐이다. 나이가 들수록 약간 중성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닮은 점이 드러나는 것이다.

얼굴이 닮았다는 사실이 의미하는 것은? 상대방의 마음을 잘 읽는다는 것이다. 마음은 표정에 나타나는 법, 누구든 어린 시절에 가족의 얼굴을 보고 표정을 읽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며 많은 커플들은 그러한 마음읽기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얼굴보고 반한다는건 허튼소리다. 마음보고 반하는 것이 맞다. 이는 여성의 경우 또한 마찬가지다. 여성들은 남성의 얼굴이 아닌 표정 보고 반한다.

그 마음은 표정에 나타난다. 대부분의 사랑은 얼굴 때문이 아니라 그 얼굴에 나타난 표정 때문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표정은 마음의 반영이다.(마광수의 견해는 여성의 입장을 무시하고 있다. 남성이 얼굴 보고 반한다면 여성 역시 얼굴보고 반해야 한다.)

###

서구인들은 황인종의 얼굴을 두고 무표정한 얼굴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인들은 서구인 혹은 아랍인, 또는 흑인의 얼굴이 대개 닮았다고 여긴다. 얼굴을 잘 구분하지 못하는 것이다.

같은 한국인끼리는 표정을 보고 구분하지만 다른 인종은 피부색을 보고 구분하려드는 것이다.

편견을 없애기 위해서는 피부색이 다른 인종의 얼굴에서 표정을 읽어내는 연습을 해야한다. 잘 살펴보면 사우디 왕자 300명의 얼굴에 제각각 다른 표정이 숨어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젊은이들은 이성의 표정을 읽는 연습을 더 해야한다.

###

사랑의 의미는 동기부여에 있다. 식욕이나 성욕 따위 욕구들은 일시적이고 산만한 것이다. 일관되게 가는 것은 사랑 밖에 없다.

사람들은 귀찮아서 밥을 굶기도 하고, 귀찮아서 세수를 거르기도 한다. 때로 욕구는 귀차니즘을 이기지 못한다. 그러므로 생리적인 욕구만으로 모든 것을 설명하려 들어서는 안된다.

사람들은 열심히 일해서 벌은 돈을 순식간에 탕진해 버리기도 한다. 일시적인 충동에 사로잡혀 공들여 세운 계획을 포기하기도 한다.

인간으로 하여금 귀찮아도 밥을 먹게 하고, 귀찮아도 세수를 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삶에 있어서 일관성과 통일성을 부여하는 것은 무엇인가?

인간으로 하여금 힘들여 번 돈을 탕진하지 않게 하는 것은? 우발적인 충동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것은? 그것은 사랑이다.

인간의 행동은 욕구에 지배되지만 사랑이 없다면 그 욕구는 무수히 변덕을 일으키고 마는 것이다. 그 욕구에 일관성과 통일성을 부여하는 것은 사랑이다.

필요한 것은 동기부여다. 그 모든 욕구를 하나의 주제에 비추어 일관되게 관리하게 하는 것, 때로는 배가 고파도 참게 하는 것, 충동이 있어도 견디게 하는 것!

###

반한다는건 자기 자신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다. 음악에 반하는 것도, 보석에 반하는 것도, 돈에 반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엄마는 아기에게 반한다. 아기는 엄마에게 반한다. 얼굴보고 반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 보고 반하는 것이다. 엄마에게는 아기의 마음을 읽는 능력이 있다. 아기에게는 엄마의 마음을 읽는 능력이 있다.

얼굴 보고 반한다는건 그 마음을 읽는 능력이 없다는 거다. 묻고 싶다. 당신은 표정을 보고 마음을 읽어내는 능력이 있는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0161
6546 답은 플러스알파다 김동렬 2022-04-06 1975
6545 이기는 원리 김동렬 2023-07-20 1977
6544 재벌야구 실패 차명석 야구 성공 김동렬 2023-11-16 1977
6543 구조론 이야기 3 김동렬 2023-04-23 1978
6542 모든 언론은 적이다 김동렬 2022-04-26 1980
6541 다윈이 틀렸다 김동렬 2023-02-13 1980
6540 국힘의 참패 이유 3 김동렬 2024-04-08 1980
6539 조절장치 2 김동렬 2023-01-26 1981
6538 국민명령 윤한퇴출 김동렬 2024-04-10 1988
6537 가두는 것이 있다 김동렬 2023-07-26 1989
6536 초심자를 위한 구조론 2 김동렬 2022-05-20 1990
6535 게임에의 초대 김동렬 2022-06-23 1991
6534 윤석열 까는 영화 오펜하이머 김동렬 2023-08-20 1991
6533 사건의 수학 김동렬 2023-01-04 1992
6532 전율하다 김동렬 2023-08-31 1994
6531 진리는 도구다 김동렬 2022-06-30 1998
6530 구조론의 철학 김동렬 2022-05-03 2001
6529 힘의 처리 김동렬 2023-09-09 2003
6528 가짜뉴스 타령이 가짜뉴스다 김동렬 2023-07-31 2004
6527 복제 김동렬 2022-12-07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