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4947 vote 0 2011.07.03 (21:24:10)

4.JPG

- 구조론은 연역적 사고다.

- 연역적 사고는 모형 위주의 사고다.

- 먼저 모형이 머리 속에 그려져 있어야 사고를 할 수 있다.

- 모형은 대칭으로부터 시작된다.

- 대칭은 1 속에 2가 들어가는 것이다.

- 대칭의 1은 축이 되고 2는 포지션이 된다.

- 포지션은 작용과 반작용, 원인과 결과, 시작과 끝, 입력과 출력, 음과 양 등 여러가지로 전개된다.



 

5.JPG

 모형은 사건이 입력에서 출력, 작용에서 반작용, 원인에서 결과, 시작에서 끝으로 가면서 구체화되는 각 단계를 나타낸다.

 

6.JPG


질, 입자, 힘, 운동, 량을 하나의 모형으로 구성하면 바운더리, 센터, 방향, 거리(시간), 결과로 나타난다.

 

 

7.JPG

 

 

 

막연히 생각할 것이 아니라 이렇게 모형을 그려놓고 생각을 전개해야 한다.

 

1) 바운더리는 무엇인가?

2) 센터는 무엇인가?

3) 기어는 무엇인가?

4) (arm)은 무엇인가?

5) 날은 무엇인가?

 

이 다섯가지를 생각하면서 마인드맵을 그려야 한다. 다섯 개의 가지를 찾아가는 것이다. 그리고 이 다섯은 각각 대칭이 있다. 각각 시소를 이루고 있다.

 


[레벨:7]아바미스

2011.07.04 (13:18:47)

내용은 잘 알겠고 어떤 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 알겠습니다.


하지만

막상 바운더리 정하기가 힘들고요,

그 후 센터가 무엇인지,등등  각 단계에서 정확히 모르겠는게 현실인것 같습니다.


구조론 사고 모형에 입각해서 내공을 쌓도록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1.07.04 (14:14:53)

사건은 어디에서 일어납니다.

그 어디를 성립시키는 절차가 바운더리죠.

에너지 작용에 따른 반작용에 의해 작용측과 반작용측의 교착으로 내부밀도가 균일해졌을 때 

그 균일한 밀도가 미치는 범위가 바운더리입니다.

한국에 전쟁이 일어나도 일본인과 황소와 길고양이들은 신경쓰지 않을텐데 

그 일본인과 황소와 고양이는 바운더리에서 배제됩니다.

센터는.. 그 밀도를 균일하게 하는 작용과 반작용이 교착되는 지점은

다른 부분보다 밀도가 더 높습니다.

작용하는 힘들이 그 부분을 통과하기 때문이지요.

그 부분이 센터가 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48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441
5775 경거망동 윤석열 김동렬 2022-03-18 3488
5774 질문과 답변 1 김동렬 2022-03-16 2802
5773 의리와 도리, 순리와 무리 김동렬 2022-03-16 3171
5772 러시아의 죽음 김동렬 2022-03-16 3841
5771 신과 나누는 이야기 김동렬 2022-03-15 3250
5770 좌파 주술사와 우파 기술자 김동렬 2022-03-14 4058
5769 사람을 키워야 이긴다 김동렬 2022-03-11 4022
5768 주적은 정의당이다 13 김동렬 2022-03-10 5826
5767 조국을 비난하는 자들 1 김동렬 2022-03-09 4069
5766 배반자 심상정 진중권 김동렬 2022-03-09 3853
5765 결과와 상관없이 우리가 이겼다 3 김동렬 2022-03-09 4411
5764 인간학 생각학 행동학 김동렬 2022-03-09 2335
5763 맹자와 순자 김동렬 2022-03-09 2354
5762 대한민국은 철폐될 수 없다. 2 김동렬 2022-03-08 3580
5761 밭을 갈면 이긴다 2 김동렬 2022-03-07 4101
5760 시간은 없다 김동렬 2022-03-06 3003
5759 목줄에 묶인 개 김동렬 2022-03-06 2815
5758 생각의 방법 김동렬 2022-03-05 2312
5757 인간과 비인간의 싸움 4 김동렬 2022-03-05 2855
5756 인간이 멍청해지는 이유 김동렬 2022-03-04 3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