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6279 vote 0 2011.06.09 (13:06:04)

6.JPG


0.JPG


구조를 이해한다는 것의 의미는 위 통방아가 아래의 물레방아와 구조가 완전히 같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느냐에 있다. 물레방아는 물을 담는 그릇이 여러개 있고 통방아는 한 개다. 구조는 중복과 혼잡을 배제하여 단순화 시킨다. 수학적으로 환원시키는 것이다. 수학은 최소화의 원칙이 지켜진다. 수학문제를 푼다는 것은 중복과 혼잡을 배제하여 가장 단순화된 형태로 기술한다는 것이다. 물레방아에는 물을 담는 그릇이 여러개 붙어있지만 통방아는 하나다. 둘은 정확히 같다. 물레방아는 산수문제를 풀제를 풀기 전이고 통방아는 풀린 답이다.


질은 물이 통방아와 결합하고, 입자는 통방아의 물통이 독립하고(물이 통에 채워지면, 물은 통을 아래로 누르지만 통은 물을 비우고 위로 올라간다. 자의에 의해 물의 지시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므로 독립인 것이다.) 힘은 가운데의 받침대가 물통과 절구공이 사이에서 교섭하고(밸런스를 조정한다는 뜻), 운동은 절구공이의 거리와 속도를 변화하고, 량은 공이가 돌확 속으로 침투한다. 이때 에너지가 명백히 빠져나간다.


인간은 이 다섯단계에 인공을 가하여 조절할 수 있다. 질은 들어오는 물의 양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고 입자는 물통의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힘은 받침대에서 방향을 틀거나 개입하여 조작할 수 있다. 받침대의 오른쪽이나 왼쪽에 개구리 한 마리만 앉아도 동작이 달라진다. 운동은 거리를 늘리거나 방아의 숫자를 늘릴 수 있다. 량의 크기 역시 조절할 수 있다. 구조를 이해한다는 것은 인간이 개입하여 조절함으로써 결과를 바꿀 수 있는 다섯 지점이 있다는 말이다.


구조는 다섯개의 포지션이 있지만 보통 하나의 사건으로 보거나, 둘의 인과법칙으로 보거나, 셋의 축과 대칭 삼위일체로 보거나, 넷의 기승전결로 본다. 즉 인간은 구조의 다섯 포지션 중에서 넷, 혹은 셋, 혹은 둘, 혹은 하나만 보는 것이며 이렇게 하나를 빠뜨리면 대결에서 패배하게 된다. 이는 상대방이 다섯 거점을 차지했는데 아군이 세곳 혹은 네곳의 거점만 장악해서 대결에서 패배하는 것과 같다. 바둑에서 흑돌이 다섯이고 백돌이 넷이면 흑이 이긴다. 포지션이 많아야 승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구조의 다섯 포지션을 모두 장악한 쪽이 무조건 이긴다. 바둑에서 돌 하나 차이로 승부가 결정된다. 


돌확-눈금

방아-자

받침대-콤파스

물통-됫박

물-저울(정확히는 통방아 전체)


눈금이 모여 자가 되고, 자가 모여 콤파스가 되고, 콤파스가 모여 됫박이 되고, 됫박이 모여 저울이 된다. 우주 안에는 이 하나의 구조 외에 없다.,


7.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1.06.10 (19:05:28)

'구조를 이해한다는 것은 인간이 개입하여 조절함으로써 결과를 바꿀 수 있는 다섯 지점이 있다는 말이다.'

 

인간의 구조도 이 말과 정확히 일치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2]wisemo

2011.06.10 (19:38:10)

푸른선으로된  점,  선,  각,  입체,  밀도만 머릿속에 그려놔도 잔영이 오래 남을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835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8311
6355 이 틈에 부산을 공략하십시오 아다리 2002-10-17 16324
6354 존재론과 인식론 2 김동렬 2009-03-20 16321
6353 시사저널 - 한인옥 10억원 받았다나. 김동렬 2002-11-06 16321
6352 김성근과 김응룡 2 김동렬 2011-08-18 16317
6351 메기의 추억 image 김동렬 2003-06-01 16317
6350 손문상화백의 부산일보 만평 image 김동렬 2002-10-28 16317
6349 이어쓰기 김동렬 2009-02-13 16310
6348 정의장 결단 잘했다 image 김동렬 2004-04-12 16307
6347 Re..재미있네요..^^ image 자유발 2002-12-01 16306
6346 김경재 박범진의 라디오대담 김동렬 2002-11-12 16299
6345 노력이면 실패다 김동렬 2010-05-24 16296
6344 알지 못하는 이유는 김동렬 2007-09-04 16288
6343 기독교도는 왜 사랑하지 않을까? 김동렬 2008-09-09 16285
6342 김정일은 자숙하라! 김동렬 2002-12-14 16284
6341 Re..핵심적인 내용이 편집되어 버렸음 김동렬 2002-10-09 16284
» 각 포지션들 image 2 김동렬 2011-06-09 16279
6339 뭐야, 도올 돌팅이 2002-12-04 16275
6338 병맛은 리얼리즘이다 image 7 김동렬 2012-12-24 16273
6337 깨달음은 언제 소용되는가? 김동렬 2008-08-05 16273
6336 동재도 구경왓수 동재 2002-12-08 16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