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은 시작과 끝이 있다. 신의 신은 누구냐 하는 수학적 발산의 문제다. 과학은 물질을 쪼개서 내부를 본다. 아무리 쪼개도 더 작은 것이 있다. 숫자는 아무리 세어도 다 셀 수 없다. 원자론은 더 세지 않겠다고 선언하고 항복한다. 여기서 어색함을 느껴야 한다. 무한의 문제다. 우리는 문제를 회피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순환의 오류를 저지른다. 무한히 윤회를 거듭한다고 주장한다. 무한이라는 단어 뒤에 숨는 것이다. 원래 그렇다고 우겨도 된다. 아인슈타인의 정적우주론이다. 공간은 무한하고 시간은 영원하다고 선언한다. 빅뱅우주론에 의해 깨졌다. 숫자가 많은 이유는 관측자 때문이다. 무한은 인간의 관념이다. 자연에는 있음이 있을 뿐 없음이 없다. 관측하려면 좌표를 그려야 하는데 좌표는 객체보다 커야 한다. 어떤 숫자를 세면 보다 큰 숫자가 만들어진다. 이는 자연의 존재와 상관없는 인간의 관측방식에 따른 모순이다. 외부 관측자 포지션을 버리고 객체 내부의 자체 질서로 관점을 틀어야 한다. 사물의 쪼개기는 무한하나 사건의 복제는 처음과 끝이 있다. 사물은 구슬이 모이고 사건은 실이 꼬인다. 꼬인 실을 풀면 매듭은 사라진다. 사건은 언밸런스로 시작하고 밸런스의 균형점 0으로 끝난다. 자연에 무는 없다. 무는 유를 포장하는데 쓰이는 인간의 관념이다. 우주에 방향전환의 결맞음과 결어긋남이 있을 뿐이다. 매듭이 얽히고 풀린다. 이쪽에서 풀린 만큼 저쪽에서 꼬이므로 풀리는 방향과 순서가 중요하다. 우주의 기본방향은 작아져서 사라지는 마이너스 방향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