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392 vote 0 2024.05.15 (12:20:34)

     할 말이 있었던 거다. 인간들 사는 꼬라지 보고 답답했을 것이다. 이것을 보면 저것을 알아야 하는데 이것에 갇혀서 저것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인간은 역할에 갇히고, 관점에 갇히고, 언어에 갇히고, 본능에 갇힌다. 

   

    ###


    발자국을 보고 도둑이 다녀간 사실을 안다. 부분을 보고 전체를 안다.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사전에 알고 있으면 추론할 수 있다. 인간은 직관력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무의식적으로 직관을 사용할 뿐 의식적으로는 사용하지 못한다. 깨달음은 직관의 각성이다.


    숨바꼭질하는 꼬마는 머리만 감추면 아빠가 찾지 못할 것이라고 여긴다.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모른다. 술래가 단서를 잡고 추론하는 전략에 대비하지 않는다. 처음으로 추론을 경험하고 전율하면 직관이 격발된다. 꼬마가 숨바꼭질 놀이를 좋아하는 이유다.


    이것을 보고 저것을 안다. 이것과 저것의 연결고리를 알면 직관할 수 있다. 원본과 복제본의 관계를 알면 추론할 수 있다. 이것과 저것을 통일하는 것은 메커니즘이다. 메커니즘에 에너지를 태우면 변화의 방향과 순서를 결정하는 시스템의 완전성이 드러난다.


   ###


    우리는 객석에 앉은 관객이다. 보이는 것은 보지만 봐야할 것을 보지 못한다. 무대 뒤의 연출자를 보지 못한다. 복제본 입장에서 사유할 뿐 원본의 입장을 사유하지 않는다. 보이는 것은 하나 둘씩 단위로 존재한다. 그것은 전시된 것이다. 전시하는 자를 봐야 한다. 과일은 하나씩 매달려 있지만 그것을 매다는 것은 단위가 없고 대신 밸런스가 있다.


    주는 자와 받는 자가 있다. 우리는 받는 사람 포지션에서 맞은 편을 보지 못한다. 자연이 부르면 인간은 응답한다. 인간은 응답자의 위치를 지키며 호출자를 보지 못한다. 자연이 간섭하면 인간은 방어한다. 인간은 방어자 언어에 갇혀 진리를 보지 못한다. 언어를 바꾸고 보는 방법을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 원본의 입장을 사유하지 않으면 안 된다.


    능동적으로 보려면 매개가 필요하다. 인간은 내부에서 자발적 변화를 조직하지 못한다. 자체 엔진이 없다. 지식의 매개를 외부 환경에서 조달하므로 본질을 보지 못한다. 원본과 복제본의 관계를 보지 못한다. 다가오는 것만 볼 수 있고 쳐들어가서 보지 못한다. 다가오면 본의 아니게 맞서게 된다. 상대를 부정하게 된다. 포지션의 함정에 갇혀버린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41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222
6889 다르마는 타이밍이다 김동렬 2024-06-26 458
6888 전여옥의 돌려까기술 김동렬 2024-06-25 904
6887 다르마와 메타인지 김동렬 2024-06-24 789
6886 나쁜 윤과 없는 한 image 김동렬 2024-06-24 942
6885 자존감과 다르마 김동렬 2024-06-21 1125
6884 한국과 베트남의 차이 2 김동렬 2024-06-21 1346
6883 동기부여 만능주의 김동렬 2024-06-20 950
6882 다르마의 길 2 김동렬 2024-06-19 908
6881 다르마를 따르라 김동렬 2024-06-19 1026
6880 세상이 불공평한 이유 김동렬 2024-06-18 1276
6879 존재와 무 김동렬 2024-06-17 766
6878 구조의 빌드업 김동렬 2024-06-15 951
6877 미래산업 정문술 명암 김동렬 2024-06-15 1117
6876 신라금관의 비밀 2 image 3 김동렬 2024-06-13 1099
6875 정情과 한恨 그리고 정한情恨 2 김동렬 2024-06-13 971
6874 호암미술관 백제의 유혹 관음상 image 4 김동렬 2024-06-13 1037
6873 자아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4-06-12 1094
6872 바보들과 논쟁하지마라 김동렬 2024-06-11 1596
6871 미쳐 돌아가는 한국 image 2 김동렬 2024-06-10 2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