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423 vote 0 2024.05.15 (12:20:34)

     할 말이 있었던 거다. 인간들 사는 꼬라지 보고 답답했을 것이다. 이것을 보면 저것을 알아야 하는데 이것에 갇혀서 저것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인간은 역할에 갇히고, 관점에 갇히고, 언어에 갇히고, 본능에 갇힌다. 

   

    ###


    발자국을 보고 도둑이 다녀간 사실을 안다. 부분을 보고 전체를 안다.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사전에 알고 있으면 추론할 수 있다. 인간은 직관력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무의식적으로 직관을 사용할 뿐 의식적으로는 사용하지 못한다. 깨달음은 직관의 각성이다.


    숨바꼭질하는 꼬마는 머리만 감추면 아빠가 찾지 못할 것이라고 여긴다.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모른다. 술래가 단서를 잡고 추론하는 전략에 대비하지 않는다. 처음으로 추론을 경험하고 전율하면 직관이 격발된다. 꼬마가 숨바꼭질 놀이를 좋아하는 이유다.


    이것을 보고 저것을 안다. 이것과 저것의 연결고리를 알면 직관할 수 있다. 원본과 복제본의 관계를 알면 추론할 수 있다. 이것과 저것을 통일하는 것은 메커니즘이다. 메커니즘에 에너지를 태우면 변화의 방향과 순서를 결정하는 시스템의 완전성이 드러난다.


   ###


    우리는 객석에 앉은 관객이다. 보이는 것은 보지만 봐야할 것을 보지 못한다. 무대 뒤의 연출자를 보지 못한다. 복제본 입장에서 사유할 뿐 원본의 입장을 사유하지 않는다. 보이는 것은 하나 둘씩 단위로 존재한다. 그것은 전시된 것이다. 전시하는 자를 봐야 한다. 과일은 하나씩 매달려 있지만 그것을 매다는 것은 단위가 없고 대신 밸런스가 있다.


    주는 자와 받는 자가 있다. 우리는 받는 사람 포지션에서 맞은 편을 보지 못한다. 자연이 부르면 인간은 응답한다. 인간은 응답자의 위치를 지키며 호출자를 보지 못한다. 자연이 간섭하면 인간은 방어한다. 인간은 방어자 언어에 갇혀 진리를 보지 못한다. 언어를 바꾸고 보는 방법을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 원본의 입장을 사유하지 않으면 안 된다.


    능동적으로 보려면 매개가 필요하다. 인간은 내부에서 자발적 변화를 조직하지 못한다. 자체 엔진이 없다. 지식의 매개를 외부 환경에서 조달하므로 본질을 보지 못한다. 원본과 복제본의 관계를 보지 못한다. 다가오는 것만 볼 수 있고 쳐들어가서 보지 못한다. 다가오면 본의 아니게 맞서게 된다. 상대를 부정하게 된다. 포지션의 함정에 갇혀버린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49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412
6872 DJ가 인기없는 이유는 김동렬 2002-09-18 16478
6871 중앙일보의 기이한 공작 김동렬 2002-09-19 17023
6870 생선을 거부한 고양이 image 김동렬 2002-09-19 17286
6869 안녕하세요... (^^) 키쿠 2002-09-19 15798
6868 성소가 총을 쏘는 이유는 김동렬 2002-09-22 15479
6867 Re..키쿠님~ 안녕하세요 김동렬^^ 2002-09-23 14640
6866 유시민의 국민정당이 성공하려면 김동렬 2002-09-24 12709
6865 美, 로마와 놀라울 만큼 닮았다 김동렬 2002-09-24 16904
6864 롤플레잉이라는 단어에서 영감이 많이 떠올랐습니다 아다리 2002-09-24 14138
6863 Re..좋은 생각입니다. 김동렬 2002-09-24 12380
6862 영화이야기 김동렬 2002-09-25 14498
6861 몸 푸는 아시안게임 체조선수들 image 김동렬 2002-09-25 17305
6860 서울 한복판에서 만난 개구리소년 김동렬 2002-09-27 12364
6859 TV토론만 하면,... 한숨맨 2002-09-27 15360
6858 Re..방법은 많이 있지만 김동렬 2002-09-27 12549
6857 Re..개구리소년 독살된 것이 아닐까? 김동렬 2002-09-27 13288
6856 15년전 6월을 기억하는가? 김동렬 2002-09-27 13392
6855 Re..합동토론도 3회 이상은 어렵겠죠?..빔 은빛 2002-09-27 14729
6854 이회창이가 된다해도 아다리 2002-09-27 13218
6853 Re..이회창이 된다면 한가지 분명한 것은.. 김동렬 2002-09-27 12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