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58 vote 0 2024.04.29 (17:30:24)

    밥을 먹으려면 먼저 식탁에 앉아야 한다. 식탁에 앉아보지도 못하고 좌절하는게 보통이다. 거기까지 데려다주는 것이 있다. 반드시 매개하는 것이 있다. 그것이 차원이다. 인간은 성공해도 차원의 도움 덕분에 성공하고 실패해도 차원의 장벽에 막혀 좌절한다.


    선수가 실력을 발휘하려면 팀에 소속되어 기회를 받아야 한다. 실력은 달라도 기회는 같아야 한다. 금수저는 언제나 식탁까지 데려다주는 사람이 있고 흙수저는 그런 도움을 기대할 수 없다. 세상을 움직이는 본질은 매개다. 매개의 존재여부로 차원이 나뉜다.


    지식을 매개하는 것은 소통이다. 소통의 장벽을 넘어 지식의 식탁에 앉게 하는 것이 모든 지식에 앞서는 근원의 지식이다. 언어의 장벽을 넘도록 매개하는 것은 구조론이다. 집단의 장벽을 넘게 하는 것은 권력이다. 내면의 장벽을 넘어가는 것은 깨달음이다.


   ###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 우주에 우리만 존재하거나 그렇지 않거나. 둘 다 끔찍한 일이다. " 아서 C. 클라크


    누군들 진리를 사랑하지 않겠는가? 그러나 진리가 인간에게 마냥 달콤하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우리는 안다. 만약 인류 모두를 살릴 수도 있고 죽일 수도 있는 스위치가 당신의 손에 쥐어져 있다면? 당신이 그 스위치를 누르든 누르지 않든 끔찍하다.


    신이 있다면 끔찍하다. 인간은 신의 손에 놀아나는 꼭두각시가 된다. 신이 없다면 역시 끔찍하다. 인간은 버려진 존재가 된다. 천국이 끔찍한 것은 내게서 삶의 의미를 빼앗기 때문이다. 지옥이 끔찍한 이유는 삶을 차단당하기 때문이다. 어느 쪽이든 끔찍하다.


    문명과 고립된 원시부족은 족장이 외부와 통하는 관문을 장악하고 권력을 독점한다. 권력은 관문에서 나온다. 부족을 방문한 이방인은 외계인과 마찬가지다. 지구가 외계인들에게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어도 끔찍하고 지구만 홀로 고립되어 있어도 끔찍하다.


   ###


    오지에 고립된 부족민은 지리적인 장벽에 가로막힌다. 지구인과 외계인의 소통은 광속의 장벽에 가로막힌다. 장벽이 있으면 관문도 있다. 장벽을 넘어가거나 넘어가지 못하게 조절하는 스위치가 있다. 그곳에서 권력이 탄생한다. 진리는 권력의 자궁이다.


    장벽을 넘어도 끔찍하고 넘지 못해도 끔찍하다. 부부가 서로의 모든 것을 알고 있다면 근친혼과 다를 바 없다. 그것은 끔찍하다. 부부가 서로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면 강제결혼과 같다. 역시 끔찍하다. 장벽을 넘을 수는 있으나 함부로 넘어갈 수는 없다.


    진리는 소통의 수위를 조절하는 관문이다. 문을 열고 닫으며 관문의 주인이 되어야 한다. 인간이 찾으려는 진리는 그곳에 있다. 세 가지 장벽이 있다. 서로 떨어져 있는 물리적 장벽과, 떨어진 것을 연결하는 도구의 장벽, 그것을 감당하는 인간의 장벽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0745
6866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6940
6865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431
6864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575
6863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456
6862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379
6861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5790
6860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339
6859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8994
6858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5858
6857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5069
6856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526
6855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385
6854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270
6853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2099
6852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565
6851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1184
6850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226
6849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9179
6848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295
6847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7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