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08 vote 0 2024.03.22 (19:25:57)

    엔트로피만큼 쉬운게 없다. 밸런스는 두 개가 붙어서 나란한 것이다. 밸런스의 변화는 분할이다. 분할하면 숫자가 증가한다. 너무 쉽잖아. 그런데 왜 다들 어렵다고 할까? 나는 거기서 인류의 어떤 약점을 봤다. 이 문명은 결함 있는 문명이다. 인류는 지식의 첫 단추를 잘못 끼웠다.


    엔트로피는 에너지의 방향성이다. 여기서부터 막힌다. 인류는 방향이 뭔지 모른다. 방향은 공간의 방향이다. 공간이 뭔지 모른다. 이쯤 되면 근본적인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우리가 밸런스 중심의 사고를 익혀야 한다. 밸런스는 깨진다. 마이너스다. 마이너스 사고를 배워야 한다.


    인류의 사고는 플러스 방향인데 자연의 전개는 마이너스 방향이다. 인간은 작은 것을 모아서 큰 것을 만들려고 하지만 자연은 큰 것을 쪼개서 작은 것을 만든다. 엔트로피 증가는 작은 것의 증가다. 인간은 애초에 큰 것에만 주목하기 때문에 작은 것이 눈에 들어오지 않는 것이다.


    열역학은 이상하다. 기초부터 빌드업하는 과정이 없다. 수학 다음에 물리학이 있고 그다음에 화학이 나와야 한다. 수학과 물리학을 거치지 않고 바로 화학을 한다면 그게 연금술이다. 열역학 법칙이 어려운 이유는 인류가 공간을 해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기초를 건너뛰었다.


    지식의 출발점은 밸런스다. 에너지의 방향성은 저울의 축이 먼저 움직이고 다음에 접시가 기울어지는 순서다. 대칭은 축이 있다. 축 1이 움직이면 대칭 2가 움직인다. 1의 원인이 2의 결과를 낳으므로 증가하는 것이다. 이 구조를 머릿속에 그리면 우주의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2073
6866 원형이정 김동렬 2024-06-05 624
6865 지식의 원점 김동렬 2024-05-20 662
6864 코기토 논증 1 김동렬 2024-06-04 695
6863 신라 마립간은 무엇인가? 2 김동렬 2024-05-14 813
6862 믿음 아니면 죽음 김동렬 2024-06-04 818
6861 지도로갈문왕 수수께끼 image 김동렬 2024-05-20 912
6860 다르마를 따르라 1 김동렬 2024-05-14 930
6859 도처에 맞다이 김동렬 2024-06-04 935
6858 첫 만남 김동렬 2024-05-16 939
6857 프레임 정치의 야만성 김동렬 2024-05-30 940
6856 인간의 입장 김동렬 2024-05-26 952
6855 직관론 김동렬 2024-05-08 962
6854 생각인간 김동렬 2024-04-13 963
6853 인류의 차원 도약 김동렬 2024-05-03 963
6852 프레임을 극복하라 김동렬 2024-05-10 971
6851 마음의 마음 김동렬 2024-03-10 996
6850 착한 아이 콤플렉스의 위험성 image 김동렬 2024-05-26 1001
6849 존재 김동렬 2024-04-05 1004
6848 의사결정 김동렬 2024-05-31 1010
6847 지구를 지켜라의 멸망 원인 김동렬 2024-05-20 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