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99 vote 1 2024.03.11 (10:52:32)

    1. 공간에는 장이 걸려 있다. 장은 국소성을 부정한다.


    2. 물질에 스핀이 걸리면 각운동량보존에 의해 공간을 덜 차지한다.


    3. 국소성을 부정하는 장의 성질, 각운동량을 보존하는 소립자의 성질, 은하의 회전, 항성 및 행성의 자전과 공전에 의해 물질은 가운데로 파고든다.


    4. 공간을 덜 차지하는 것이 가운데로 파고들면서 약한 것을 주변부로 밀어낸다. 효율적인 구조를 가진 것이 이긴다. 


    5. 바닷가의 몽돌이 둥근 것은 외부가 깎여나간 것이므로 에너지의 방향이 다르다.


    6. 중력은 당기는 힘이 아니라 가운데를 차지하려고 하면서 방해자를 밀어내는 힘이다. 궁극적으로 밸런스의 복원력이다. 국소성의 부정과 관계가 있다.  


    7. 무거운 것이 가운데를 차지하여 밸런스를 이루고 안정된 상태가 된 것이 현재 자연의 모습이다.


    8. 물방울이 둥근 이유는 물분자들이 가운데를 차지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9. 존재는 고유한 운동량이 있으며 밸런스에서 멈추는데 물방울의 가운데가 밸런스를 이룰 확률이 높다. 고유한 운동량은 부단한 내부 방향전환이다. 일종의 스핀인데 회전은 아니나 회전과 유사하다. 


    10. 밸런스에 도달하면 운동량이 소멸되는게 아니라 주변과 나란해져서 운동량을 내부에 숨긴다. 스핀이 결맞음에 숨는다.


    11. 존재는 운동량을 내부에 숨길때까지 활동하며 우리가 아는 물질의 모습은 고유한 운동량을 숨기는 형태다.


    12. 둥근 형태는 물질이 고유한 운동량을 가장 잘 내부에 숨기는 형태다. 밸런스에 도달할 확률이 높다. 


    13. 각운동량보존은 주변부의 긴 파장을 중심부의 짧은 파장으로 바꾸어 에너지를 내부에 숨긴다.


    14. 에너지는 물질 내부에 숨은 운동이 언밸런스에 의해 외부에 드러나는 방식이다. 위치에너지는 밸런스의 붕괴다. 다음 밸런스에 도달할 때까지 움직인다.


    15. 자발적 변화는 언밸런스에 의해 숨은 것이 드러나는 방향으로만 진행하므로 엔트로피는 증가한다. 내부가 드러나므로 잘게 쪼개진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125
77 재벌의 마이너스법 image 김동렬 2011-11-14 20523
76 사랑하기 때문에 헤어진다는 말은..길은정이 편승엽에게 김동렬 2002-09-08 20548
75 마음의 지도 image 김동렬 2010-11-15 20633
74 정몽헌 자살이 DJ의 노벨상 때문? 스피릿 2003-08-06 20664
73 허재와 이명훈의 만남 image 김동렬 2002-10-04 20755
72 40代 엽기 마누라의 '남편 죽이기' 김동렬 2003-07-23 20755
71 김원길의 적절한 선택 image 김동렬 2002-11-26 20876
70 Re.. 깨춤 - 우리말 대사전 김동렬 2002-12-12 20996
69 선문답의 이해 image 2 김동렬 2012-11-01 21012
68 안희정은 무슨 배짱으로 .. 미친 넘 image 김동렬 2003-03-26 21067
67 결혼한 뒤 바람 피우는 진짜 이유는 image 47 김동렬 2012-04-12 21198
66 발달린 뱀 image 1 김동렬 2009-09-16 21369
65 구조적 사고란 어떤 것인가? image 13 김동렬 2012-01-02 21390
64 구조론 문제 - 이 그림이 비싼 이유는? image 80 김동렬 2012-12-31 21536
63 추미혜와 박근혜 누가 더 예쁜가 내기해 보자 황인채 2002-12-19 21559
62 용해 주물 압연 압천 압인 image 김동렬 2011-06-12 21718
61 노무현이 광주노씨라서 전라도 사람이면 전주이씨 이회창은? SkyNomad 2002-12-13 21728
60 해군 UDT 탈락 비관 20대 목숨끊어 김동렬 2003-07-10 21929
59 손자병법 대 손빈병법 image 3 김동렬 2011-02-11 21963
58 과학자의 헛소리 예 2 김동렬 2011-05-17 2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