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456 vote 0 2024.03.06 (17:58:16)

    구조론은 수학이다. 우리가 사물의 숫자는 알아도 사건의 숫자는 모른다. 사물의 많고 적음은 헤아려도 사건의 맞물려 있음은 헤아리지 못한다. 헤아린다는 것은 쌓인 것을 풀어서 보는 것이다. 풀어서 헤아릴 줄은 아는데 반대로 맞물리게 쌓을 줄은 모른다.


    푸는 것은 수학이고 풀린 것은 과학이다. 우리는 풀어서 보는 과학적 사고를 배운다. 사건은 맞물려 차원을 이룬다. 낮은 차원의 문제는 높은 차원에서만 풀린다. 풀어서 보는 과학적 사고만으로는 부족하고 사건의 맞물림을 보는 차원적 사고를 배워야 한다.


    과학적 사고는 비판적 사고다. 비판적 사고는 숨겨진 복잡성을 드러낸다. 풀어 헤쳐진 것을 헤아리므로 복잡할 뿐 다시 쌓으면 통합되어 단순하다. 차원적 사고는 직관적 사고다. 복잡한 것을 단순하게 설명하는 직관적 사고방식을 훈련하지 않으면 안 된다.


    ###


    수평에서 막힌 것은 수직에서 타개된다. 수직을 보려면 초월자의 눈을 얻어야 한다. 손님은 수평구조의 밖에 있고 주인은 수직구조의 안에 있다. 안을 보려면 주체자의 눈을 얻어야 한다. 안에 가두면 수직이 만들어져 더 높은 차원의 세계로 가는 문이 열린다.


    바둑돌 밖에서 움직이는 전술은 수평에서 교착되고 바둑판 안에서 움직이는 전략은 수직으로 타개한다. 전략은 자원을 가두어 안을 만들고 전술은 거기서 방해자를 제거한다. 내부에 가두면 수직을 세울 수 있고 더 높은 차원에 올라 수평을 장악할 수 있다.


    내부에 가두어져 장악된 것이 절대성이라면 밖으로 풀려난 것이 상대성이다. 문제해결은 밖을 안으로 바꾸는 것이다. 수평으로 흐르는 물은 수직의 그릇에 담아 통제하는 것이다. 보다 높은 차원에 올라 낮은 차원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우주의 근본원리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997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7580
6783 "우유 많이 마시면 살 빠져요" 김동렬 2002-09-30 19730
6782 광대역 웹캠 최신버전 김동렬 2003-06-10 19718
6781 탤런트 이유진의 고백 김동렬 2003-05-30 19707
6780 휘발유통에 라이터를 켜대는 난폭자의 등장 image 김동렬 2003-02-19 19683
6779 박정희의 슬로건 - 중단없는 전진 김동렬 2002-12-15 19637
6778 인지부조화와 확증편향 6 김동렬 2014-07-21 19628
6777 '신은 없다' 호킹 발언 김동렬 2010-09-12 19560
6776 까뮈의 이방인 김동렬 2006-07-14 19549
6775 동영상 강의 김동렬 2010-01-25 19531
6774 구조는 자이로스코프다. image 11 김동렬 2012-01-11 19516
6773 구조론 개념도 image 김동렬 2008-08-25 19508
6772 군대가서 좋은 점 image 김동렬 2003-07-14 19472
6771 인터넷 글쓰기의 폐단인가?(펌) (노혜경) 2003-06-12 19470
6770 "`고맙다 김대중`이라고 말하라" 김동렬 2003-01-10 19443
6769 맥아더의 동상을 철거하라 2005-09-17 19424
6768 물레방아와 축구경기 image 김동렬 2011-06-18 19407
6767 그림풀이 image 김동렬 2010-03-05 19320
6766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 학문의 역사 김동렬 2006-02-11 19284
6765 죄송한데여... 노원구민 2002-12-15 19261
6764 Re..실은 육지와 바다에 한 쌍의 손이지요. image 김동렬 2002-09-15 19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