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278 vote 0 2024.01.06 (18:14:39)

    왜 산을 오르는가? 이기려고 오른다. 다음 단계를 결정하는 권한을 쥐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 산이 인간을 결정하도록 내버려둘 수 없으므로 인간이 산을 결정한다. 그 산이 과연 오를만한 가치가 있는 산인지는 산에 올라 결정권을 획득한 다음에 판단할 일이다.


    이기면 다음 단계를 결정하는 힘을 얻는다. 비로소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지면 그것이 과연 옳았는지 알 수가 없다. 그러므로 이겨야 한다. 이기지 못하면 지고 지면 당한다. 지면 의사결정권을 뺏긴다.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없다. 발언권을 잃는다.


    왜 사는가? 이기는 것이 사는 것이다. 오늘 하루를 이기면 하루치만큼 살아져 있다. 지면 귀찮아진다. 다른 것이 나를 침범한다. 모르는 것이 나를 결정한다. 외부의 힘에 시달린다. 그 고통을 피하게 된다. 이겨서 얻는 이득은 불확실하나 지면 피해는 확실하다.


    가만있으면 흐르는 물살에 떠밀리게 된다. 제 위치를 지키려면 조금이라도 나아가야 한다. 한 번 나아가면 계속 나아가게 된다. 그렇게 산다. 이기는 것이 존재하는 것이다. 지면 나의 존재가 부정된다. 그러므로 산다는 것은 도전을 긍정하고 진보하는 것이다.


    생명은 호흡해야 이긴다. 문명은 진보해야 이긴다. 삶은 부름에 응답해야 이긴다. 사는 것은 부단히 이기는 것이다. 지는 것은 죽는 것이다. 무엇을 결정하든 내가 결정하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 남이 결정하면 진다. 옳고 그름의 판단은 결정권을 얻은 다음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38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204
2810 사랑의 정석 62, 소들의 평상심 image 1 김동렬 2016-02-26 5191
2809 사랑 123, 화수분 인생 1 김동렬 2016-07-18 5188
2808 사랑 69, 반응에서 호응으로 image 1 김동렬 2016-03-08 5183
2807 사랑 68, 사는 방향으로 가라 image 1 김동렬 2016-03-07 5183
2806 사랑 70, 깨달음은 감성이다. image 1 김동렬 2016-03-09 5181
2805 연역의 재현과 귀납의 관측 1 김동렬 2020-03-10 5180
2804 에너지를 절약하는 방법 김동렬 2015-12-27 5179
2803 조절되는 것이 완전하다 image 김동렬 2016-04-03 5177
2802 구조는 이중구조다 image 김동렬 2015-10-26 5176
2801 공자 21, 나면서 아는 것이다 image 김동렬 2016-02-25 5172
2800 답은 만남에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03-03 5167
2799 노자는 무엇을 가르쳤는가? image 1 김동렬 2016-02-15 5165
2798 믿음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3-10-27 5164
2797 본질주의와 도구주의 1 김동렬 2020-08-27 5161
2796 구조론의 차원 image 김동렬 2015-09-01 5159
2795 세상은 복제다 2 김동렬 2015-08-28 5159
2794 언어는 맥락이 필요하다 1 김동렬 2019-12-18 5154
2793 사랑 120, 갈 길이 멀다 1 김동렬 2016-07-07 5153
2792 공자 이후에 공자가 없었다 image 김동렬 2016-01-19 5149
2791 사랑의 정석 44, 신과의 일대일 image 1 김동렬 2016-01-30 5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