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030 vote 0 2023.12.28 (14:30:21)

    선이 악을 이긴다.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다. 많은 경우 악이 선을 이긴다. 중학생의 일진놀이가 그렇다. 못된 녀석이 이겨서 무리 위에 군림한다. 사람들이 악을 저지르는 이유는 악이 승리하기 때문이다. 이겨먹으려고 그러는 것이다. 


    진보가 보수를 이긴다.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다. 많은 경우 보수가 이긴다. 사람들이 한사코 보수로 달려가는 이유는 이겨먹으려는 욕심 때문이다. 옳고 그름에는 관심이 없고 단지 이겨먹으려고 승리하는 구조를 만들면 그게 보수다. 


    그러나 모두 이기는 게임은 없다. 모두가 보수할 수는 없다. 모두가 악할 수는 없다. 모두가 이기려고 하면 모두가 지는 것이 게임이론의 내시균형이다. 우리는 알고 있다. 다시 선이 이긴다는 사실을. 다시 진보가 승리한다는 사실을. 


    이기는 선과 지는 선이 있다. 이기는 진보와 지는 진보가 있다. 보편과 특수가 있다. 이기는 선은 보편성의 선이다. 지는 선은 특수성의 선이다. 특수하다는 것은 때와 장소가 특정된다는 것이다. 놀부와 흥부가 싸우면 놀부가 이긴다. 


    흥부는 사람이 특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놀부팀과 흥부팀이 싸우면 흥부팀이 이긴다. 놀부팀은 동료에게 패스하지 않기 때문이다. 놀부팀은 동료까지 이겨먹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진보도 같다. 보편진보는 이기고 특수진보는 진다. 


    때와 장소가 정해진 진보는 진다. 개인전을 하면 보수가 이기고 팀플레이를 하면 진보가 이긴다. 선이 이기려면 단체전을 해야 한다. 장기전을 해야 한다. 넓고 열린 곳에서는 진보가 이기고 좁고 궁벽한 곳에서는 항상 보수가 이긴다. 


    열린우리당이 당명에 열려있음을 강조한 이유다. 닫힌 진보는 진다는 사실을 본능적으로 아는 것이다. 장기전은 진보가 이기고 단기전은 보수가 이긴다. 진보가 이기려면 1차전을 내줘야 한다. 항상 이기는 진보는 원리적으로 없다.


    진보가 선이고 보수는 악이다. 보편적으로 그러할 뿐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다. 진보는 단체전, 장기전, 능동적, 긍정적, 공격전, 보편성일 때 한하여 선이다. 반대로 개인전, 단기전, 수동적, 부정적, 방어전, 특수성일 때 진보는 악이다. 


   우리가 진보를 지향하는 이유는 진보가 항상 옳기 때문이 아니라 누군가는 진보를 해야 한다면 무리 중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이 진보를 맡아야 하기 때문이다. 멍청한 사람이 진보를 하면 그게 악이다. 똑똑한 진보가 이길 자격이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41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335
2692 엔트로피는 언제나 증가한다. 3 김동렬 2018-09-03 5840
2691 엔트로피의 의미 5 김동렬 2018-09-04 5466
2690 엔트로피를 이겨라 4 김동렬 2018-09-05 4503
2689 인질범의 승리 4 김동렬 2018-09-06 4923
2688 천재를 모방하자 2 김동렬 2018-09-08 6550
2687 엔트로피를 정복하라 김동렬 2018-09-09 4416
2686 엔트로피는 축의 제거다 1 김동렬 2018-09-10 4431
2685 보배드림 성추행 사건의 경우 12 김동렬 2018-09-11 5875
2684 삼권분립을 생각하자 김동렬 2018-09-12 4203
2683 질을 이해하라 4 김동렬 2018-09-12 4721
2682 천재의 방법을 모방하라 김동렬 2018-09-15 4654
2681 왜 엔트로피인가? 김동렬 2018-09-17 4145
2680 인간은 계발된 존재다 5 김동렬 2018-09-18 4435
2679 아이디어를 버려라 김동렬 2018-09-18 4400
2678 비오는 날의 동화 3 김동렬 2018-09-19 4214
2677 단순한 것에 답이 있다 4 김동렬 2018-09-19 4460
2676 고수는 단순한 것으로 이긴다 김동렬 2018-09-20 4686
2675 인간은 잘 속는 동물이다 1 김동렬 2018-09-20 4324
2674 엔트로피를 정복하라 김동렬 2018-09-21 4095
2673 힘과 운동에 대하여 2 김동렬 2018-09-21 4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