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570 vote 0 2023.12.25 (15:36:36)


    옛날 사람들은 초자연적인 힘에 의해 운명이 정해져 있다고 믿었다. 사주팔자가 그것이다. 운명은 봉건사회의 신분제 한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천민은 양인과 결혼할 수 없는 것이 운명이다. 요즘은 운명적인 사랑과 같이 드라마틱한 것을 운명이라고 한다.


    신랑이 손해 보는 결혼이라거니 신부가 어쨌다거니 하는 이야기가 인터넷에 넘친다. 그들은 운명을 믿지 않는 속물이다.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운명을 극복하는 갑작스런 신분상승이 사라진 시대다. 운명에 맡기는 모험과 도전도 사라졌다.


    베토벤의 운명교향곡을 떠올리자. 빠빠빠빰 하고 초장부터 세게 나간다. 다시 차분해진다. 대평원을 가로지르는 듯 고요하게 호른 소리가 들리다가 콰콰콰쾅 하고 터뜨린다. 대포 소리 들리고 말발굽 소리 요란하다. 운명은 보이지 않는 힘에 휘둘리는 것이다.


    베토벤의 귀는 나빠졌고 나폴레옹은 비엔나를 향해 진격했다. 이제 선택지가 없다. 죽거나 나쁘거나 운명을 따라간다. 운명은 선택지를 줄이는 외부의 힘이다. 운명의 힘을 믿는 사람은 스스로 선택지를 줄인다. 이몽룡은 성춘향이 아니라도 선택지가 있었다.


    혜가는 달마 앞에서 왼팔을 잘라 선택지를 없앴다. 유비, 관우, 장비는 도원결의를 해서 선택지를 줄였다. 그 방법으로 에너지를 끌어올린다. 운명은 사회적 관습이나 물리적 한계로 정해진 것도 있고 스스로 개척하는 것도 있다. 에너지와 선택지의 교환이다.


    인생의 본질은 사랑도, 행복도, 쾌락도, 성공도 아닌 운명이다. 그것은 우연이 아니라 필연이다. 다른 가능성을 차단하여 우연을 필연으로 바꾼다. 신의 부름에 응답하는 것은 운명이다. 신의 응답을 들었을 때 전율하는 것이 운명을 거는 도전으로 이어진다.


    신을 믿는 것은 운명을 믿는 것이다. 운명을 믿는 것은 에너지 보존의 법칙을 믿는 것이다. 운명을 걸고 에너지를 끌어올리는 방법은 서로 연동시키는 것이다. 하나가 죽으면 모두가 죽는 구조를 만들면 그 군대는 무적이 된다. 운명은 구조의 힘을 이용한다.


    왜구가 강한 이유는 영주가 죽으면 가신도 죽는 구조 때문이다. 척계광의 원앙진이 강한 이유는 지휘관 하나가 죽으면 분대원 12명이 모두 처형되는 구조 때문이다. 테베의 신성부대가 강한 이유는 파트너가 죽으면 자신도 갈 곳이 없는 신세가 되기 때문이다.


    신성부대는 게이 150쌍 300명으로 구성되는데 파트너를 잃고 혼자 부대에 남을 수는 없다. 인생의 모든 자원을 한 곳에 연동시켜 몰빵한다면 그것은 운명이다. 그럴 때 답은 정해져 있다. 좌고우면 하지 않고 직진한다. 곁눈질에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는다.


    사랑과 운명은 비슷하다. 둘은 에너지를 끌어모은다는 점이 같다. 다만 사랑은 소승적이고 운명은 대승적이다. 사랑은 자신의 호르몬을 변화시켜서 선택지를 좁히고 운명은 주변 물리적 환경을 변화시켜서 선택지를 좁힌다. 운명을 사랑하는 사람이 진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6680 제 1 지식 김동렬 2023-12-11 1594
6679 윤석열 심판이냐 이재명 심판이냐 김동렬 2024-03-28 1595
6678 임종석과 자폐증 진보 4 김동렬 2024-02-28 1600
6677 국민은 반칙을 심판했다 김동렬 2024-04-11 1605
6676 에너지 김동렬 2024-02-07 1609
6675 방시혁 하이브 뉴진스 1 김동렬 2024-04-24 1613
6674 인간은 언제 죽는가? 1 김동렬 2024-05-02 1614
6673 힘의 구조 김동렬 2023-08-19 1616
6672 조국이 앞장서는 1.9.혁명 2 김동렬 2024-04-02 1616
6671 대한민국 큰 위기 그리고 기회 김동렬 2024-04-09 1616
6670 유튜브 양자역학 텍스트 김동렬 2024-02-05 1619
6669 신간 이기는 힘이 나왔습니다 image 4 김동렬 2023-11-26 1620
6668 시공간은 휘어지지 않는다 김동렬 2023-11-19 1621
6667 말씀과 약속 김동렬 2023-11-10 1624
6666 이탄희의 자멸정치 1 김동렬 2023-11-28 1624
6665 LG 구광모 회장 잘할까? 김동렬 2023-11-19 1625
6664 중도가 조국을 지지하는 이유 1 김동렬 2024-04-01 1626
6663 짐 차노스와 일론 머스크 김동렬 2023-11-25 1627
6662 구원의 의미 김동렬 2023-11-06 1628
6661 윤석열은 물러나는게 맞다 김동렬 2024-04-12 1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