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695 vote 0 2023.11.26 (20:59:12)

    구조론은 수학이다. 수학은 사건의 결과 측을 헤아리고 구조론은 원인 측을 통제한다. 구조론은 수학을 반대쪽에서 본 것이다. 수학이 에너지의 출력 측을 보는 것이라면 구조론은 에너지의 입력 측을 보는 것이다.


    그래서 어쩌라고? 배운 것을 써먹어야 한다. 서구 문명이 수학을 실생활에 써먹는 데는 2천 년이 걸렸다. 인간이 수학으로 이득을 본 역사는 불과 삼백여 년이다. 갈릴레이와 뉴턴의 등장까지 수학은 공리공론이었다.


    수학으로는 포탄의 탄도를 계산할 수 있다. 수학은 전쟁에 써먹을 수 있다. 건축에도 쓰이지만 수학 없어도 중국은 만리장성을 쌓았다. 중국은 아편전쟁에 지고 난 다음에야 수학이 실용적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마찬가지다. 구조론을 어디에 써먹을 것이냐? 두 가지에 사용된다. 하나는 이기는데 쓰인다. 이긴다는 것은 권력을 쥐고 의사결정한다는 것이다. 둘은 이기는 편에 드는 것이다. 이기는 편은 신이다. 신의 입장이다.


    진실을 말하자. 인간은 신이 되고 싶다. 존재의 진실에 다가서고 싶다. 초인이 되고 싶고, 의사결정하고 싶고, 이기고 싶다. 집단의 권력과 동료의 의리와 가족의 사랑과 개인의 믿음을 한 줄에 꿰는 소실점은 신이다.
   

    ###


    이기는 힘이 이번에 나왔습니다. (배송비 무료 정가 2만 원)

    다음에 (6월 이전)에 '신의 입장'(가제)을 낼 예정입니다. 


    구조론이 수학이므로 복잡하게 들어가면 계속 복잡해집니다. 그렇게 어렵게 들어갈 필요 없고 직관하면 됩니다. 구조론을 배우면 에너지의 방향만 보고 3초 안에 판단합니다. 이론적 확신을 가질 수 있습니다.


    구조론이 총이라면 그 총을 쏘는 방법이 이기는 힘입니다. 그 총을 가지고 입대해야 할 군대는 신의 입장에서 쓸 예정입니다. 


20231126_205104.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6]강원닮아

2023.11.26 (23:34:20)

상복하복

명하지 않아도 상복 하복 중복 쭉복 축복 행복

가히도 무거운 행복의 시가 도레미파솔라시도

갑을병 어느새 하나의 정으로 상복 하복 정 정

[레벨:3]야뢰

2023.11.27 (15:55:31)

예전에 나온 마음의구조도 구입하고싶은데 같이 주문할수있씁니까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3.11.27 (16:02:45)

https://www.yes24.com/Product/Goods/4614557


여기서 주문할 수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레벨:3]야뢰

2023.11.28 (19:44:14)

교보문고로 주문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611
6639 염경엽 야구의 해악 김동렬 2023-11-14 1801
6638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3-12-18 1801
6637 클린스만의 명암 김동렬 2023-11-20 1802
6636 문명과 야만의 차이 1 김동렬 2023-11-10 1804
6635 총선 총평.. 구조론이 옳다 김동렬 2024-04-11 1815
6634 방향과 압박 김동렬 2023-11-09 1817
6633 헤어질 결심 - 한국 지식인의 저급함 김동렬 2024-05-01 1819
6632 존재의 핸들은 무엇인가? 김동렬 2022-04-26 1820
6631 윤석열의 총선반성 뻥이야. 김동렬 2024-04-16 1824
6630 함흥차사 인요한 김동렬 2023-11-05 1826
6629 세상은 변화다 김동렬 2023-01-27 1828
6628 생각의 기술 김동렬 2023-01-24 1829
6627 김건희의 뇌물공화국 김동렬 2024-02-22 1836
6626 하나가 더 있다 김동렬 2023-07-31 1838
6625 민주당 전략은 허허실실 김동렬 2023-12-06 1839
6624 믿음의 의미 김동렬 2023-11-05 1845
6623 양자역학의 이해 김동렬 2024-01-04 1845
6622 직관력 김동렬 2024-02-06 1846
6621 구조론은 김동렬 2023-08-30 1847
6620 생각의 도구 1 김동렬 2023-01-18 1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