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chow
read 3704 vote 0 2023.10.15 (13:16:06)

https://youtu.be/c99Es5MjSs8?si=hE4MF4AOCnDB2xmq 

일단 우리가 흔히 아는 그 베르누이 이론은 부족한 이론

위아래 유체의 속도 차이에 의한 압력 차이 어쩌구 저쩌고

과학이론이 대개 그렇듯이 현상을 (기술 가능한) 수식으로 쓰기만 한 게 베르누이

사람들은 아직도 비행기가 왜 뜨는 지 모른다는데,

회전하는 축구공이 뜨는 것으로 양력이론을 설명하려고 하다가 이론을 건졌다는데

정작 설명은 여전히 베르누이와 다르지 않아.

아인슈타인도 도전했다가 개망신 당했다고.


#


이 문제를 설명하려면

일단 그냥 유체가 아니라

점성을 가진 유체를 전제해야해.

점성의 의미는 덩어리에 있고.


우리는 뜨는 힘을 설명하려고 하는데

거꾸로 저항력을 줄인다고 설명을 해야지

즉, 비행기 날개는 뜨는 게 아니라

저항력이 적은 쪽으로 이동하는 거.


날개 위쪽이 저항력이 적은 이유는

골프공의 딤플, 강이 굽이치는 것과 같은 원리

딤플이 패어있으면 유체의 작은 덩어리가 생기는데

그 작은 덩어리가 더 큰 덩어리가 생기는 걸 방지해


작은 덩어리 유체는 공간을 더 촘촘히 쓰고

큰 덩어리 유체는 공간을 성기게 쓰는데,

성긴 공간만큼의 저항력이 발생하는 걸로 이해할 수 있어.

날개가 앞으로 나가려면 빈 공간을 해결해야 하니깐.


더 큰 덩어리는 더 큰 압력으로

더 작은 덩어리는 더 작은 압력으로 작용하고

그게 결과적으로 베르누이의 압력 차이로 나타나고


근데 언제나 적정 스케일이 있어서

속도별로 크기별로 이 현상은 다르게 적용될 거

돌기가 있는 게 나을 수도 

아닐 수도 있다는 거지.

각그랜저가 보통 공기저항계수가 높다고 하는데

버스는 오히려 낮다고 하거든.


아음속일 때와 초음속 일 때도 차이가 있을 거고.

왜냐하면 공기 덩어리의 크기가 동체에 미치는 영향이

동체의 크기와 속도에 상대적일 테니깐.

적정 단위가 있다는 거지.


비슷한 사례로 

트위스터나 우박이 생기는 곳의 지형적 특성이 매우 일관적인 건데

대개 평지에서 발생

산이 있으면 작은 돌풍이 생겨서 큰 돌풍을 방지하는데

암것도 없으면 큰 돌풍이 생기는 거.


비행기 날개만 가지고 설명하려고 하는 건 

특수성을 가지고 노는 거고 

오히려 모든 것에 적용해서

보편성의 원리를 적용해야 그게 '이론'이지.

이론의 의미는 보편성에 있으니깐.


최신? 스텔스 비행기들이 각져있던데

의외로 공기저항계수가 높지 않다매?

다 이유가 있는 거지.

매끈한 거보다 돌기가 있는 나은 .


유체역학에서 말하는 점성의 의미는 

끈적한데 있는 게 아니라

상대도 의사결정을 한다는 것에 있어.

나혼자 잘하면 안 되고 

너도 잘해야 한다는게

엘리트와 정치인의 차이랄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275
2153 좆의 어원 image 8 김동렬 2013-04-01 14913
2152 인종별 웃는 모습 image 김동렬 2016-08-15 14826
2151 감자탕은 감자뼈? 1 김동렬 2010-10-20 14786
2150 [질문] 왜 죽었다는 뜻으로 '깨(께)팔러 갔다'고 하는지? 10 우야산인 2009-08-13 14656
2149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첫 번째 image 1 ahmoo 2010-01-18 14472
2148 스노우보드 타는 요령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10-06-15 14327
2147 악어새의 환상 image 10 김동렬 2012-12-26 14115
2146 모순과 역설. 5 아제 2010-03-08 13527
2145 문제 - 돔 지붕의 딜레마 image 17 김동렬 2013-01-20 13525
2144 한비야의 40킬로가 무겁다? image 10 김동렬 2014-04-10 13340
2143 빈도주의 vs 베이즈주의 7 오세 2014-09-17 13081
2142 르네 마그리트 image 1 김동렬 2014-01-16 13061
2141 '차길진' 이라는 재미있는 사람이 있더라구요 1 송파노을 2006-02-22 12735
2140 이현세의 헛소리 비판 17 김동렬 2013-04-09 12234
2139 인터뷰 질문 모집 67 김동렬 2009-09-16 12172
2138 김동렬님께 강도 2005-11-29 11744
2137 아라비아 숫자의 어원 image 2 김동렬 2014-06-17 11706
2136 언어 구조의 대강 image ░담 2010-05-19 11621
2135 키 큰 남자가 좋다? image 3 김동렬 2011-08-23 11543
2134 한국이 노벨상을 못 타는 이유 2 김동렬 2013-10-29 11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