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491 vote 0 2023.09.20 (14:16:57)

    사슴이 죽어 있다. 어떤 사람이 말했다. 이 사슴은 죽은 사슴이야. 모든 사람이 동의했다. '암 그렇고 말고. 그 사슴은 죽은 사슴이 맞아.' 그들은 만족해서 가던 길을 갔다. 또 한 무리의 사람들이 찾아왔다. 어떤 사람이 말했다. '이 사슴이 죽은 이유는 총에 맞았기 때문이야.' 모든 사람이 동의했다. '원인이 있으면 결과가 있는 법. 원인은 총에 맞은 것이고 결과는 사슴이 죽은 것이지. 수수께끼는 모두 풀렸어.' 그들은 만족해서 가던 길을 갔다. 아무도 사슴을 죽인 총알이 어디서 날아왔는지에 대해서는 묻지 않았다. 이상하지 않은가? 이상함을 느낀 사람이라면 다음 페이지로 전진해 보자. 가야 할 길은 아직도 멀다. 그래서 우리는 편안할 수 있다.


    천동설이 이상하다는 점은 누구나 직관적으로 느낀다. 왜냐하면 이상하기 때문이다. 불편함이 있다. 지동설로 바뀌고 편안해졌다. 지동설은 인류가 아무것도 모른다는 사실을 깨닫게 한다. 아직 주문한 요리가 덜 나왔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고 있다. 뭔가 부족해 보이지만 주방에서 조리하는 소리가 들린다. 기다릴 수 있다.


    다시 한 번 불편함을 느껴야 한다. 이상하지 않은가? 천동설이든 지동설이든 보이는 것은 관측자 입장이다. 반대편 연출자 입장은? 스크린 반대편에 필름이 있어야 한다. 지동설의 충격은 스크린에 펼쳐진 이미지가 실물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그림자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게 한다. 그렇다면 실물은 어디에 있는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6446
744 한국은 희망이 없다 김동렬 2023-03-19 2571
743 변화 질서 전략 김동렬 2020-12-01 2571
742 도구를 다루는 것이 철학이다 2 김동렬 2020-08-26 2571
741 권력의 자유주의와 보상의 사회주의 1 김동렬 2020-08-09 2571
740 우주가 5인 이유 1 김동렬 2020-04-25 2569
739 인문학의 맹점 1 김동렬 2023-01-05 2568
738 연역과 귀납 1 김동렬 2021-05-05 2568
737 개인주의 시대의 세대전쟁 3 김동렬 2022-06-27 2560
736 인간의 권력의지 김동렬 2021-03-17 2560
735 일원론으로 바라보라 김동렬 2020-09-03 2559
734 방향성과 차원 1 김동렬 2020-02-28 2559
733 여혐과 혐한 김동렬 2022-10-10 2555
732 사람을 사냥하는 진중권들 김동렬 2022-04-17 2554
731 마크 저커버그 승 일론 머스크 패 김동렬 2023-07-13 2553
730 세상은 도구다 김동렬 2022-03-31 2553
729 인과법칙과 본말법칙 김동렬 2022-03-01 2553
728 아베의 죽음 1 김동렬 2022-07-09 2551
727 미인계 하다가 망한 정의당 김동렬 2022-09-20 2547
726 대칭과 비대칭 1 김동렬 2020-03-01 2547
725 젤렌스키와 푸틴 김동렬 2022-04-10 2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