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155 vote 0 2023.09.06 (18:56:09)

    보이는 것 말고 하나가 더 있다. 그것은 말로 설명할 수 없으므로 깨달아야 한다.


    있는 것은 눈으로 보는 것이고 낳는 것은 깨닫는 것이다. 낳으면 하나가 추가된다.


    원소는 눈으로 보는 것이고 집합은 깨닫는 것이다. 집합이 원소의 합보다 크다. 하나가 더 있기 때문이다.


    사물은 눈으로 보는 것이고 사건은 깨닫는 것이다. 사건은 사물의 합보다 크다. 보이는 것 외에 하나가 더 있다.


    전달은 눈으로 보는 것이고 결정은 깨닫는 것이다. 결정이 전달의 합보다 크다. 보이는 것 외에 하나가 더 있다.


    이기는 힘은 하나가 더 있다. 자발성이 있다. 에너지는 하나가 더 있다. 방향성이 있다. 메커니즘은 하나가 더 있다. 연결되어 있다.


    자연의 기세, 생명의 호흡, 언어의 의미, 시장의 이윤, 사람의 사랑, 동료의 의리, 사회의 권력, 산업의 혁신, 생각의 아이디어는 하나가 더 있다. 남이 갖지 못한 하나를 더 가져야 한다. 그래야 이길 수 있다.


    그것은 관통하는 것이다. 소설의 주제, 인물의 캐릭터, 영화의 서스펜스, 음악의 하모니, 그림의 구도는 관통한다. 시야를 관통하는 소실점을 깨달아야 한다. 건물의 뼈대는 관통하며 연결한다.


    그것은 발사된다. 화살처럼 일직선으로 날아간다. 일방향성을 가지며 결코 되돌아오지 않는다. 그것을 격발하는 장치가 있다. 메커니즘이 있다. 엔진이 있다. 동력원이 있다.


    그것은 유체의 성질이다. 그것에 의해 세상은 널리 연결된다. 부분을 연결한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 만유의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지 않으면 안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7801
6484 원리와 프레임 김동렬 2022-12-14 2083
6483 의사결정비용 김동렬 2022-05-10 2084
6482 게임의 초대 김동렬 2022-07-06 2084
6481 인류의 첫 번째 질문 김동렬 2023-02-01 2084
6480 개념미술이 사기인 이유 김동렬 2022-10-05 2085
6479 파천황 김동렬 2023-02-19 2085
6478 카이사르와 클레오파트라 3 김동렬 2023-02-14 2086
6477 본질을 넘어 도구로 김동렬 2022-04-15 2090
6476 가식적인 한국인들 속이기는 쉽다 김동렬 2023-08-20 2093
6475 인류 최고의 발명 1 김동렬 2023-11-20 2093
6474 대화 김동렬 2022-10-15 2094
6473 구조와 원자 김동렬 2022-09-24 2096
6472 불확정성의 원리 김동렬 2022-06-20 2099
6471 동적 세계관 김동렬 2023-01-05 2102
6470 조중동발 공정쇼 김동렬 2022-05-25 2103
6469 열역학과 내시 균형 2 김동렬 2023-03-11 2104
6468 굥락, 굥의 추락 김동렬 2022-07-06 2106
6467 카타고와 인공지능 혁명 1 김동렬 2023-02-24 2108
6466 국어사전 문제 김동렬 2023-02-10 2109
6465 연역과 귀납 1 김동렬 2022-12-20 2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