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559 vote 0 2023.07.23 (21:13:45)


    사람이 쓰러졌다면 날아온 화살 때문인가, 아니면 그 화살을 날려보낸 활 때문인가, 혹은 그 활을 쏜 사람 때문인가? 우리는 원인을 찾으려고 하지만 원인의 원인이 있기 마련이다. 근인近因도 있고 원인遠因도 있다. 사람들은 여러 원인 중에 하나를 찾으면 더 이상 생각하지 않으려고 한다.


    - 집합이 원소를 쏜다.
    - 유체가 강체를 쏜다.


    원소가 아니라 집합이 진짜다. 강체가 아니라 유체가 진짜다. 활이 집합이라면 화살은 원소다. 집합이 원소를 쏜다. 유체가 강체를 쏜다. 화살은 활에 묶인다. 원소는 집합에 묶인다. 강체는 유체에 묶인다. 묶었다가 풀어주는 것은 유체다. 존재는 묶여서 단위를 이룬다. 존재의 단위는 유체다.


    - 존재는 단위다.
    - 유체가 단위를 만든다.


    우리는 원소 중심의 사고에 빠져 있지만 원소는 힘이 없다. 집합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강체는 힘이 없다. 유체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망치는 힘이 없다. 망치를 휘두르는 사람의 근육에 힘이 있다. 근육은 유체다. 우주의 모든 변화는 유체의 몰아주는 성질로 설명되어야 한다.


    집합 - (조건) - 원소
    유체 - (밸런스) - 강체


    강체는 스스로 움직일 수 없으나 유체는 스스로 움직인다. 단 조건이 있다. 유체를 묶어주는 것이 있다. 내부의 밸런스가 묶는다. 집합과 원소 사이에 조건이 있다.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집합이 깨진다. 밸런스가 일치하지 않으면 유체는 흩어진다. 밸런스가 유체를 가두면 힘이 발생한다.


    유체 - 풀어주는 자발성이 있다.
    강체 - 묶이는 상호의존성이 있다.


    원소가 묶이면 집합이 되고 강체가 묶이면 유체가 된다. 강체가 묶인 것은 상호의존성이고 유체가 풀어주는 것은 자발성이다. 근원의 힘은 유체의 자발성에서 비롯된다. 묶인 것을 풀어주는데 드는 비용을 자체조달할 수 있는 형태로만 풀 수 있다. 그러므로 법칙이 있다. 그것이 이기는 힘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6757 신과 인간 김동렬 2023-11-27 1315
6756 옥새파동이 무슨 상관? 1 김동렬 2024-03-19 1324
6755 마동석의 성공 방정식 김동렬 2024-05-05 1329
6754 외왕내제의 진실 김동렬 2024-02-21 1334
6753 메타영역 김동렬 2024-04-12 1343
6752 탁구공과 쇠공 문제 image 김동렬 2024-04-17 1344
6751 신의 권력 김동렬 2023-11-29 1351
6750 유권자의 갑질 김동렬 2024-02-26 1351
6749 한국 정치의 비밀 김동렬 2024-04-01 1357
6748 윤석열 사냥시즌 1 김동렬 2024-05-24 1358
6747 존재는 도구다 김동렬 2024-02-01 1359
6746 공자 김동렬 2024-04-23 1360
6745 인간의 고통 김동렬 2023-11-28 1361
6744 양면전쟁과 예방전쟁 김동렬 2024-03-02 1361
6743 조국당이 이기는 이유 1 김동렬 2024-04-03 1362
6742 인간의 충격 김동렬 2023-11-26 1375
6741 소크라테스 김동렬 2024-02-22 1375
6740 동양은 신이 없다. 김동렬 2024-04-11 1377
6739 클린스만 잘한다 김동렬 2023-11-23 1379
6738 직관 논리 믿음 김동렬 2024-03-29 1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