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680 vote 0 2023.06.12 (17:13:38)

    주먹이 벽을 치는 것이나 벽이 주먹을 치는 것이나 같다. 작용반작용의 법칙이다. 그런데 왜 그럴까? 에너지가 유체이기 때문이다. 고무공을 벽에 던지면 되돌아온다. 왜 되돌아올까? 고무공이 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체에 가깝기 때문이다. 포탄을 벽에 쏘면 되돌아오지 않는다. 왜 되돌아오지 않을까? 포탄이 강체이기 때문이다. 작용반작용의 법칙은 유체의 성질이다.


    유체는 내부에 압력이 걸려 있다. 우리가 눈으로 보는 것 말고 하나가 더 있다. 유체에 보이지 않는 손이 숨어 있다. 물은 수압이 걸려 있고, 공기는 기압이 걸려 있고, 열은 열압이 걸려 있고, 에너지는 파동압이 걸려 있다. 압력이 걸리면 파동의 간섭에 의해 내부는 균일해진다. 파동은 상쇄되고 보강되어 닫힌계 내부에서 균일해진다. 그럴 때 하나가 변하면 전체가 변한다.


    에너지는 계를 이루고 부분이 전체를 대표하므로 통제할 수 있다. 하나를 건드려 전체를 결정할 수 있다. 오뚝이는 제 발로 일어선다. 중력이 유체이기 때문이다. 유체는 내부에 자발적 움직임을 감추고 있다. 그것은 에너지의 성질이다. 유체는 인간이 외부에서 작용하지 않아도 스스로 움직여서 균형을 회복한다. 우리는 에너지의 자발성을 이용하여 이득을 취할 수 있다.


    에너지는 내부에서 움직이는 성질을 감추고 있다. 에너지가 움직이는 경로를 결정하는 것이 힘이다. 힘은 이기는 길로 간다. 수력발전을 하려면 물이 발전기보다 위치가 높아야 한다. 그래야 수압이 발전기를 이긴다. 에너지는 이기는 힘으로 통제할 수 있다. 99 대 1로 이기든 1 대 0으로 이기든 이긴다는 것은 같다. 최소의 비용으로 최적의 경로를 디자인할 수 있다.


    인류가 모르는 것이 에너지의 자발성이다. 스스로 균형을 회복하고 최적의 경로를 찾아내는 유체의 성질이다. 강체와 유체의 차이는 석탄과 석유의 차이와 같다. 석탄은 운반비가 들지만 석유는 송유관을 따라 제 발로 온다. 강체는 시계추처럼 두 방향으로 가지만 유체는 한 방향으로 간다. 강체는 외부의 유혹에 끌려 가지만 유체는 내부의 압력에 의해 등을 떠밀려 간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12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079
» 유체의 성질 김동렬 2023-06-12 3680
1733 윤석열은 인간일까? 김동렬 2021-12-27 3680
1732 김기태의 복수야구 1 김동렬 2019-05-22 3678
1731 노자를 죽여야 나라가 산다 1 김동렬 2020-12-13 3676
1730 에베레스트의 눈 1 김동렬 2018-11-02 3676
1729 말이 아니라 무기다 2 김동렬 2018-11-01 3675
1728 조국의 전쟁은 끝나지 않는다 image 김동렬 2020-09-15 3671
1727 말을 똑바로 하자 1 김동렬 2019-05-31 3670
1726 진중권의 망신 1 김동렬 2022-01-26 3665
1725 부산신공항의 의미 2 김동렬 2020-11-17 3662
1724 천박한 네티즌, 아쉬운 지도자 1 김동렬 2020-06-14 3662
1723 밤에도 혼자 걷고 싶다는 영국 여성 김동렬 2021-03-14 3661
1722 잘 모르면 신과 연결하고 답을 기다려라 1 김동렬 2021-01-24 3659
1721 노동의 슬픔 김동렬 2023-05-02 3657
1720 죽음과 삶 2 김동렬 2019-10-16 3656
1719 패배자의 즐거움 1 김동렬 2018-12-17 3656
1718 슬픈 대한민국 김동렬 2021-12-06 3654
1717 제논의 궤변 image 1 김동렬 2020-05-22 3654
1716 힘을 이해하자 김동렬 2022-08-03 3653
1715 차원의 이해 1 김동렬 2018-11-13 3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