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440 vote 0 2023.05.23 (20:55:41)

    노무현은 진짜다. 진짜는 상대방 행동에 맞대응하지 않고 묵묵히 흐르는 강물에 배를 띄우는 사람이다. 자기 생각을 말하면 가짜다. 진리 생각을 대신 말해야 한다. 보통은 상대를 이용한다. 적대적 의존관계를 만들고 싸우면서 공생한다. 유비는 뭐든 조조 반대로 간다.


    라이벌 의식을 느끼고 반대되는 캐릭터를 만든다. 조조가 무력에 의지하면 유비는 인의에 의지한다는 식의 정치적 프레임을 걸고 프로파간다를 한 것이다. 대립각을 세우고 반사이익을 얻는다. 박정희가 전쟁이면 김대중은 평화라는 식의 맞대응이 전부면 좋지 않다.


    김대중은 박정희가 망친 것을 바로잡았다. 김영삼 초반의 높은 인기는 전두환노태우 덕을 본 것이다. 박전노가 망친 것을 바로잡았다. 전두환도 박정희 반대로 간다고 컬러TV 허용, 야간 통금 해제로 인기를 얻었다. 망친 것은 바로잡아야 하지만 그건 당연한 일이다.


    문재인은 이명박근혜가 망친 것을 바로잡았을 뿐 한 걸음 더 나아가지 못했다. 노무현은 누구 반대로 가지 않았다. 프레임에 기대지 않았고 반사이익을 노리지 않았다. 누구처럼 전직 대통령을 까서 연명하지 않았다. 생각해보면 그 시절이 대한민국의 전성시대였다. 


    노무현 이후에 노무현이 없었다. 왜 제 2의 노무현이 없을까? 원래 없다. 동서고금의 인물을 봐도 참 사람이 없다. 링컨은 과대평가 된 사람이다. 전쟁과 관련하여 그의 결정은 거의 틀렸다. 선거를 의식하고 무리한 공격을 요구하며 대책 없이 장군만 갈아치운 것이다. 


    그래도 열심히 의사결정을 한 것은 평가되어야 한다. 왜 링컨인가? 링컨 건드리면 인종갈등으로 미국 망한다. 판도라의 상자를 열지 말자. 선을 넘지 말자. 모택동은 건드리지 말자. 중국 국체가 부정된다. 근본이 흔들린다. 이런 심리. 처칠, 드골도 과대평가 된 것이다. 


    클린턴, 오바마, 바이든도 마찬가지. 미국 민주당이 우리 편이라서 굳이 까지 않을 뿐 할 말이 없어서 안 하는게 아니다. 독일은 나치괴물 판도라의 상자에 담아서 덮어버리려고 히틀러를 깐다. 일본은 놔둔다. 미국도 인종주의 덮으려고 링컨 까지 않는 걸로 합의한다.


    진짜는 노무현뿐. 프레임을 걸고 누구를 반대해서 재미보려고 하지 않고 벙어리 마을에서 유일하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의 행동을 한 것이다. 비겁한 한국인들은 제 2의 노무현, 제 3의 노무현이 무수히 나올 줄 알고 노무현을 죽인 것이다. 그런데 그게 다였다. 한국 끝났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69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511
5392 사기전문 표절전문 뒤통수전문 1 김동렬 2021-07-13 4283
5391 유아기억상실증? 1 김동렬 2021-07-13 3678
5390 한국인의 정 흥 한 김동렬 2021-07-13 4464
5389 엔트로피와 진화론 1 김동렬 2021-07-13 3392
5388 입진보 카터의 귀향 2 김동렬 2021-07-12 4019
5387 쥴리의 타살 1 김동렬 2021-07-12 4394
5386 진화와 진보의 전략 김동렬 2021-07-12 3322
5385 진화의 전략 김동렬 2021-07-11 3174
5384 무한의 문제 김동렬 2021-07-10 3201
5383 구조의 탄생 김동렬 2021-07-09 3413
5382 원자는 없고 구조는 있다 김동렬 2021-07-09 3012
5381 이야기의 단초 김동렬 2021-07-08 3613
5380 쥴리와 호빠 1 김동렬 2021-07-08 4687
5379 자연은 전략이다 김동렬 2021-07-08 3162
5378 기세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1-07-07 4028
5377 중권이랑 쥴리랑 1 김동렬 2021-07-07 4001
5376 민중파가 엘리트를 이긴다 김동렬 2021-07-06 4055
5375 원인은 자연의 조절장치다. 김동렬 2021-07-06 2937
5374 구조론은 무엇으로 사는가? 2 김동렬 2021-07-06 2878
5373 인간은 사회적 동물인가? 1 김동렬 2021-07-05 3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