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885 vote 0 2023.04.11 (11:33:33)


    인간은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궁지로 몰아넣고 에너지를 쥐어짠다는게 구조론의 내시균형 해석이다. 인간은 궁지에 몰릴 때까지 폭주한다. 운이 좋은 사람은 그런 경향이 더하다. 보통사람은 적당히 눈치 보며 주변과 보조를 맞춘다. 상황을 극단으로 몰아가지 않는다.


    그러나 로또 세 번 맞은 사람은 자신의 반복되는 행운에 의미를 부여하려고 한다. 박근혜의 폭주가 그렇고 정용진의 폭주가 그렇다. 나고 보니 공주다. 엄마가 죽어서 영부인 대행이다. 가만있었는데 대통령이다. 이건 하느님이 내게 주신 특권이야. 미션을 받았어.


    '온 우주의 기운을 모아모아 통일 대통령이 되고 말거야.' 정용진의 기행도 자신에게 주어진 특권의 단서를 찾으려는 거다. 사고 쳤는데 오히려 결과가 좋다. 그런 일이 몇 번 반복되면 미션을 확인한다. '더 큰 사고를 쳐봐야지. 양주를 병나발 불고 인스타에다 올려?' 


    '그래도 오히려 팔로워가 늘어나겠지. 기레기가 쉴드 쳐주겠지.' 그렇게 맛이 가는 법이다. 일론 머스크도 맛이 가고 있다. 주변에 좋은 조언자가 없다는 사실을 들키는 거다. 외로운 자들이다. 천공이든 전광훈이든 그렇게 맛이 간 자들이다. 더 큰 기적을 기다린다. 


    '더 큰 로또를 긁어버려.' 무의식이 조종되므로 소인배가 한 번 심리적 함정에 빠지면 헤어날 수 없다. 내시균형은 경찰이 죄수를 쥐어짜지만 로또 맞은 인간들은 스스로를 쥐어짠다. 암시와 상징과 징크스에 집착한다. 징크스의 감옥에 가두고 암시의 감옥에 가둔다. 


    아침에 검은 고양이를 보면 불길하다. 첫 손님으로 여자가 택시에 타면 재수가 없다. 이런 터부를 만든다. 터부의 감옥 속으로 들어간다. 그렇게 내시균형의 노예가 된다. 구조에 갇히면 차악을 선택한다. 윤핵관이든 전광훈이든 묵묵히 윤석열을 돕는게 최선이다.


    민주당을 돕는 것은 최악이고 하느님의 힘을 키우는 것이 차악이다. 하느님의 역사하심으로 또 한 번 기적이 일어나서 또 다른 윤석열을 발굴하자. 그렇게 조금씩 차악이 쌓여서 결국은 최악이 된다. 그들은 이미 윤석열을 버렸다. 보수 집권보다 기적의 재현이 낫다.


    또 한 번 정치적 기적이 일어나려면 윤석열을 제물로 바쳐야 한다. 국힘당 거하게 말아먹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로지 전광훈의 기도빨로 인해 보수가 승리하는 기적을 일으켜보자. 오르가즘 느끼려면 말이다. 이미 자신을 기적의 제단에 바쳤다. 그는 죽어도 좋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615
6341 어떻게 살 것인가? 김동렬 2023-06-06 3549
6340 국가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3-06-05 4255
6339 인류는 생각할 줄 모른다 김동렬 2023-06-04 3220
6338 사랑은 거짓말이다 김동렬 2023-06-03 4030
6337 거짓말과 폭력 김동렬 2023-06-01 3617
6336 결정자와 전달자 김동렬 2023-06-01 3108
6335 이기는게 원인이다 김동렬 2023-05-31 3716
6334 섹스와 흥분 김동렬 2023-05-31 3959
6333 사자와 원숭이의 영아살해 2 김동렬 2023-05-30 3268
6332 더러워서 피하는 전여옥 김동렬 2023-05-30 3855
6331 공유의 깨달음 김동렬 2023-05-29 4259
6330 깨달음의 의미 김동렬 2023-05-28 3709
6329 부처님 오신날 김동렬 2023-05-27 3462
6328 힘이 모든 것이다 김동렬 2023-05-26 3371
6327 만악의 근원 엘리트 우월주의 1 김동렬 2023-05-26 3669
6326 진중권이 웃겼다 3 김동렬 2023-05-25 4032
6325 모든 힘의 힘 김동렬 2023-05-24 3584
6324 선택과 결정 김동렬 2023-05-24 3211
6323 황지해의 경우 image 김동렬 2023-05-23 3618
6322 노무현을 생각한다 김동렬 2023-05-23 3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