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875 vote 0 2023.04.10 (19:45:37)

    영국에 여왕이 많은 이유는 왕을 해봤자 얻는게 없기 때문이다. 러시아의 에카테리나 여제나 당나라의 무측천처럼 권력투쟁을 통해 여왕이 된 경우는 드물다. 미국에 여자 대통령이 없는 것과 같다. 대통령 권력이 막강하고 다툼이 치열해서 여성 정치인에게 불리하다.


    신라에 여왕이 여럿 있는 이유는 왕을 해봤자 얻는게 없었기 때문이다. 신라는 박석김이 돌아가면서 왕을 하는가 하면 왕을 양보하기도 한다. 유리왕과 석탈해가 그랬다. 서로 양보하다가 나이순으로 해먹었다. 반란이 있었지만 백제와 고구려에 비해서는 내란이 적었다.


    남해 차차웅은 사위 석탈해를 대보로 임명하여 군사와 국정을 맡겼다. 그럼 왕은 무엇을 하지? 놀았다. 제사를 지내는 일 외에 할 것이 없다. 이때부터 사실상 매금왕과 갈문왕의 역할분담이 시작된 것이다. 신라가 흥한 이유는 지정학적 구조와 의사결정 구조 때문이다.


    지정학적으로는 항구와 가까우면서도 낙동강 상류를 차지하고 있다. 상류가 하류보다 유리하다. 하류로 가면 저절로 모이지만 상류로 가면 흩어진다. 평양과 개성과 서울과 부여는 모두 강의 하류다. 세곡을 운반하기는 쉽지만 방어하기는 어렵다. 산골이라도 좋지는 않다.


    경북지역은 말갈족이 침략해 오면 도망갈 곳이 없다. 신라는 낙동강 상류와 한강 상류를 차지하는 바람에 유리해진 것이다. 중국 역대 왕조가 황하의 상류에 자리 잡은 것과 같다. 양자강 하류에 자리 잡은 오나라는 오래 버티지 못했다. 촉나라 성도는 너무 궁벽한 상류다.


    의사결정구조 역시 중요하다. 골품제도 초반에는 기여했다. 삼국통일 후에는 당나라에 인재를 뺏기는 원인이 되었지만. 다이묘가 권력을 세습하는 일본보다는 낫다. 당시 고구려와 백제는 귀족이 독점했다. 중세 유럽도 농노가 갑자기 재상이 되는 되거나 하는 일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흉노의 영향을 받아 유목민의 관습을 보존한 신라의 의사결정구조가 더 우수했던 것이다. 당시는 유목민이 농경민보다 많은 부분에서 앞서 있었다. 인구가 적어서 곧 역전되었지만. 중앙집권과 전제왕권이 우수한 제도라는 생각은 중국의 영향으로 왜곡된 것이다.


    북한도 미국과 대결하다가 망가진 것이다. 중국의 침략 위협에 노출된 고구려와 백제가 불리했던 것은 사실이다. 인간은 환경이 나쁘면 더 나쁜 결정을 내린다. 내시균형에 잡혀 차악을 선택하기 때문이다. 차악이 조금씩 축적되어 최악 된다. 최선의 결정을 하려면?


    환경이 최선이라야 한다. 미국이 그러하다. 유럽도 비슷하다. 그런데도 신라가 결국 망한 이유는? 적절한 시점에 수도를 옮겼어야 했는데 그렇게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강과 낙동강으로 좁혀서 보면 신라가 유리하지만 한반도 전체로 보면 경주는 궁벽한 오지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4364
601 김대중의 변명 - 통치권 차원의 결단인가? 김동렬 2003-01-30 14189
600 적들의 음모 - 노무현을 무장해제 시켜라 김동렬 2003-01-28 17441
599 한나라당의 무뇌를 재검표해야 김동렬 2003-01-27 15473
598 김원웅씨? 당신 뭐하는 사람입니까? 김동렬 2003-01-27 13708
597 박노자가 못 본 대한민국 김동렬 2003-01-26 13540
596 꽃동네 유감 -.-; 김동렬 2003-01-24 15831
595 박근혜 삭발하다? (펌) image 김동렬 2003-01-23 14952
594 수레바퀴를 찾아라! image 김동렬 2003-01-23 14800
593 서프라이즈가 이상해? 당근이쥐! image 김동렬 2003-01-23 14974
592 피투성이님의 글 김동렬 2003-01-23 13133
591 피투성이님 조선일보를 KO시키다. 김동렬 2003-01-22 15160
590 펀생전 김동렬 2003-01-22 12852
589 김용옥 피투성이가 되다 김동렬 2003-01-21 13868
588 서프라이즈 출판기념회 사진 image 김동렬 2003-01-20 18218
587 이회창은 과연 돌아오는가? 김동렬 2003-01-19 13800
586 이회창은 언제 복귀할 것인가? 정답..413총선 직전에 복귀한다. 김동렬 2003-01-18 15761
585 노무현은 징기스칸에게 배워라! 김동렬 2003-01-16 15703
584 한화갑의 내각제 논의 문제있다. 김동렬 2003-01-14 17615
583 조선일보 김대중편집인 아직 안죽었구나? 김동렬 2003-01-14 15234
582 박노자도 모르는 한국 한국인 김동렬 2003-01-13 11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