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173 vote 0 2023.04.08 (22:00:04)

    구조는 대칭이다. 대칭은 다섯이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이 그것이다. 다섯 가지 대칭이 자연의 모든 것을 결정한다.


    구조론은 세상을 정지해 있는 사물이 아니라 움직이는 사건으로 본다. 존재를 정靜이 아니라 동動으로 보는 관점이다.


    사건은 원인과 결과가 있다. 구조론은 원인측 사정에 주목한다. 우리가 아는 사물의 관점은 결과측 사정에 매몰된다. 


    원인을 봐야 원리를 알게 된다. 결과의 관찰로는 겉을 알 뿐 속을 알 수 없다. 그렇다는 사실을 알 뿐 왜 그런지 모른다.


    사물을 관찰해서는 설탕이 달고 소금이 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나 설탕이 왜 달고 소금이 왜 짠지는 알아낼 수 없다.


    물질은 결과만 보고 성질은 원인까지 본다. 물질은 하나를 보면 하나를 알게 되고 성질은 하나를 보면 열을 알게 된다. 


    하나의 빛이 프리즘을 통과하며 열 가지 색깔을 만든다. 원인은 하나가 열로 복제되지만 결과는 하나에 머물러 있다. 


    인류는 문명의 역사 1만 년 동안 결과측만 주목했다. 피상적 관찰에 그쳤을 뿐 의사결정하는 원리를 알아내지 못했다.


    결정된 것을 관찰했을 뿐 결정하는 것을 보지 않았다. 결정은 내부의 구조에서 일어나는데 인간은 겉모습만 살폈다.


    원인은 의사결정이다. 모든 것의 모든 원인은 내부 의사결정구조다. 자연의 어떤 모습은 어떤 의사결정구조 때문이다.


    물은 왜 흐를까? 물의 의사결정구조가 그래서다. 빛은 왜 빛날까? 구조가 그래서다. 돌은 왜 무거울까? 구조가 그렇다. 


    일본은 왜 그럴까? 구조 때문이다. 중국은 왜 그럴까? 구조 때문이다. 저 사람은 왜 저런가? 언제나 답은 구조 때문이다.


    한국과 일본의 지정학적 구조는 눈에 보이지만 문화와 관습으로 존재하는 내부의 의사결정구조는 잘 보이지 않는다. 


    구조를 보려면 내부를 봐야 한다. 내부에는 대칭이 있다. 대칭은 축이 있다. 의사결정은 축의 이동에 의해 일어난다. 


    그전에 계가 있다. 계 안에서 축이 이동하여 하나의 대칭에서 또 다른 대칭으로 갈아타는 방향과 순서를 알면 다 안다. 


    시스템, 메커니즘, 스트럭쳐, 운동, 정보의 다섯 구조가 에너지를 경로를 조절하여 우주와 자연의 모든 것을 결정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9155
465 슈뢰딩거의 고양이 3 김동렬 2023-11-13 2210
464 잡스, 게이츠, 머스크 김동렬 2022-12-15 2209
463 상호의존성 김동렬 2023-05-06 2207
462 구조론과 구조주의 김동렬 2022-10-27 2207
461 사건의 탄생 김동렬 2022-12-31 2205
460 수학과 구조론 2 김동렬 2022-11-25 2205
459 체계를 찾아라 2 김동렬 2023-02-21 2204
458 세훈당과 동훈당 김동렬 2022-07-04 2201
457 공감빌런을 퇴치하라 김동렬 2022-12-17 2200
456 만남 1 김동렬 2022-10-14 2200
455 언어의 탄생 김동렬 2022-07-14 2199
454 생각을 하자 2 1 김동렬 2022-11-20 2195
453 게이 유전자는 없다 김동렬 2023-09-06 2194
452 원자설과 원소설 김동렬 2023-04-12 2190
451 우연에서 필연으로 김동렬 2022-12-09 2189
450 구조론의 도전 김동렬 2022-10-08 2189
449 내팀내의 과학 2 3 김동렬 2023-04-25 2187
448 과학의 알파와 오메가 1 김동렬 2022-04-24 2187
447 생각을 잘하자 김동렬 2022-05-01 2186
446 구조론 3분 스피치 김동렬 2023-04-19 2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