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7]오리
read 5671 vote 0 2023.03.18 (11:27:20)




https://youtu.be/eNmzWRwJ-SI


우연히 유튜브에 떠서 봤는데 재밌네요.

구조론적 관점으로 보면 더 재밌을거 같습니다. 


  • 유기체가 능동적으로 DNA를 변화시킨다 vs 아니다.
  • 어떤 사람의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1만년 후에 쌍둥이로 복제가 가능하다 vs 안된다.
  • 유기체의 사회적 선택
  • 코로나 면역반응이 후세에 전달되는 메카니즘
  • 라마르크가 돌아왔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3.03.18 (19:44:25)

내용이 길어서 안 봤는데 

구조론을 배우면 간단히 해결될 문제입니다.

진화는 일단 유전자가 하는게 맞습니다.

이건 제가 자연선택을 비판하려고 옛날부터 주장한 거. 

그런데 구조론으로 보면 유전자는 입자입니다.

노블 교수의 유기체가 정확히 뭘 뜻하는지 모르겠는데 아마 유기농 장사를 하려는듯.

유기체는 의미가 모호하므로 

유전자가 입자인데 비해 구조론의 질 포지션을 커버하고 싶은 것으로 추측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보통 말하는 원인은 입자입니다.

핀셋으로 찝을 수 있는 입자는 유전자입니다.

유기체라는 말은 체가 붙었으니까 입자에 해당되는데

후성유전 어쩌고 하는거 보니

입자가 아니라 질 곧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의미하고 싶은듯


결론.. 진화는 일단 유전자가 하는게 맞다.

유전자는 입자이므로 그 이전의 질 개념을 말하고 싶으면 

상호작용으로 말해야지 입자를 찍으면 안 된다.

입자를 찍어서 말하며 질 개념을 반영하면 그게 한의학의 기 비슷하게 된다.

포스의 힘으로 진화했다고 말하면 피곤하다.


구조론은 유전자 안에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고 봅니다.

맞는 생태적 지위를 찾아낼때까지 특정한 방향으로 변이를 유발하는 프로그램이 있다.


다윈생각.. 우연히 변이 중에 하나가 살아남는다.

구조생각.. 특정한 방향으로 변이가 일어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858
391 내가 나가수를 보는 법 (2) image 1 Beholder 2011-07-09 4178
390 비과학적 사고의 예 5 김동렬 2011-07-07 5595
389 내가 나가수를 보는 법 image 3 Beholder 2011-07-05 3628
388 선풍기 괴담의 비과학성 1 김동렬 2011-07-04 5813
387 인간의 진화는 유전자를 잃어버리는 과정? 9 김동렬 2011-07-04 4669
386 운명인가? image 4 Beholder 2011-07-01 3389
385 wson님의 견해에 대하여 5 Beholder 2011-06-29 3496
384 구조론의 이름을 참칭했습니다. image 6 Beholder 2011-06-28 3523
383 영감을 주는 것이 예술이다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1-06-19 4503
382 검은백조는 없다. 3 르페 2011-06-16 3896
381 원명 교체기와 미중교체기 1 눈내리는 마을 2011-06-13 4547
380 구조를 알아야 관계는 도약된다. 5 조율 2011-05-29 4104
379 삶과 죽음 image 1 눈내리는 마을 2011-05-28 3692
378 6천년 전에 세워진 아일랜드 고인돌 image 2 김동렬 2011-05-25 8417
377 과학의 정체(?) 35 wson 2011-05-25 4593
376 연꽃의 역설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11-05-10 4278
375 대진화, 포화진화, 환경 변화 3 wson 2011-05-08 4547
374 현대물리학의 개념들에서 질에 해당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11 wson 2011-05-04 4246
373 성과를 두 배로 늘리는 법 있나요? 4 김신웅 2011-05-04 4118
372 마인드맵의 진화단계 7 juseen 2011-04-26 50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