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074 vote 0 2023.03.17 (09:48:00)

      
   


    언어를 모르면 말할 수 없고
    숫자를 모르면 셈할 수 없고
    구조를 모르면 생각할 수 없다.


    지도가 있어야 길을 찾을 수 있고
    연장이 있어야 집을 지을 수 있고
    구조를 알아야 제대로 생각할 수 있다.


    남이 가졌는데 내게 없으면 밟힌다.
    남이 구조를 아는데 내가 모르면 당한다.
    자신의 운명을 남의 손에 맡기는 셈이 된다.


    구조는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것이다.
    맞물린 지점에서 하나가 둘을 결정한다.
    존재의 자발적인 의사결정은 거기서 일어난다.
    다른 것은 결정된 것을 전달할 뿐 결정하지 않는다.


    구조를 모르면 맞물려 돌아가는 지점을 놓친다.
    이것을 해결하고 방심하다가 저것의 되치기에 당한다.
    언제나 인간의 의도와 반대로 되는 것이 구조의 역설이다.


    숫자는 10개지만 구조는 다섯뿐이다.
    세상은 다섯 가지 대칭이 맞물려 돌아간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대칭이 축에 의해 조절된다.


    내부를 보려면 형태를 깨야 한다.
    형태를 깨면 내부의 맞물림이 사라진다.
    대칭을 통해 형태를 깨지 않고 내부를 알 수 있다.
    집단 내부에서 작동하는 힘의 자발성을 조절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8113
6524 관통자 김동렬 2023-08-23 2010
6523 넙치의 비밀 김동렬 2022-11-30 2011
6522 진짜 보수 우파 장성철? 김동렬 2023-01-30 2014
6521 진리의 부름 김동렬 2023-03-01 2017
6520 성소수자 판결 김동렬 2022-06-25 2019
6519 인간의 뇌가 커진 이유 김동렬 2023-02-15 2019
6518 확률에 대한 오해 김동렬 2023-02-03 2020
6517 이기는 힘 2 김동렬 2023-08-15 2023
6516 세 번째 모노리스 김동렬 2023-09-03 2023
6515 생각을 하다 김동렬 2023-11-03 2025
6514 카테고리 김동렬 2023-02-22 2027
6513 질문과 답변 김동렬 2022-04-23 2029
6512 철학의 첫 단추 김동렬 2022-04-09 2030
6511 방민전쟁. 선수들끼리 왜 이러셔. 1 김동렬 2024-04-26 2030
6510 사건의 메커니즘 김동렬 2023-09-14 2037
6509 거짓과의 싸움 1 김동렬 2023-08-11 2039
6508 지식의 타락이 위기의 본질 김동렬 2023-07-25 2040
6507 강형욱 양원보 통일교 내전? 4 김동렬 2024-05-27 2041
6506 영웅은 누구인가? 2 김동렬 2023-12-10 2045
6505 무지의 지 김동렬 2023-02-24 2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