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178 vote 0 2023.03.10 (11:06:15)

    우리가 아는 세상은 모양과 짜임새다.
    모양이 외부에 전시된 형태라면 짜임새는 내부에 감추어진 구조다.
    인류가 지금까지 알아낸 것은 외부에 전시된 모양이다.
    우리가 알아야 할 진짜는 내부에 감추어진 짜임새다.
    내부의 짜임새를 결정하는 것은 우주의 질서다.
   
    구조라고 하면 건축구조와 같은 정적구조를 떠올리기 마련이다.
    구조를 생산하는 것이 질서라면 그 질서를 생산하는 것은 움직임이다.
    궁극적으로는 우주에 움직임이 있을 뿐이며 그 움직임은 원래부터 있었다.
    원래부터 있었던 존재의 고유한 움직임을 나타내는 말은 에너지다.
   
    에너지는 방향성이 있다.
    에너지는 충돌을 피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에너지의 방향성이 짜임새의 자궁이다.
    그것이 모든 것의 어머니다.
    존재의 엔진이자 우주의 궁극적인 동력원이다.
    에너지의 방향성을 따라가는 동적구조에 주목해야 한다.
    그것은 결정하는 것과 결정된 것의 차이다.
    동적구조가 결정하는 것이라면 정적구조는 결정된 것이다.
   
    에너지로 표현되는 존재의 고유한 움직임은 방향성이 있고, 방향성은 질서를 낳고, 질서는 짜임새를 낳고, 그것을 우리가 보는 것이 모양이다.
   
    동적구조론은 구조론을 보다 더 원인 측, 능동 측, 작용 측에서 해석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4055
441 인간을 이해하라 김동렬 2022-04-13 2177
440 원리의 힘 김동렬 2022-12-13 2176
439 구조론 3분 스피치 김동렬 2023-04-19 2174
438 각인 김동렬 2022-12-02 2172
437 상호작용 김동렬 2022-11-09 2172
436 새로운 사유 김동렬 2023-03-14 2170
435 구조론의 도전 김동렬 2022-10-08 2170
434 존재의 족보 김동렬 2022-12-21 2168
433 데카르트의 실패 김동렬 2022-11-21 2168
432 구조론 1분 스피치 김동렬 2023-04-08 2166
431 플러스알파의 의미 김동렬 2022-04-07 2166
430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넘어 김동렬 2022-02-18 2164
429 임무형 명령형 김동렬 2022-04-03 2160
428 진평분육 김동렬 2024-02-02 2159
427 인간학 생각학 행동학 김동렬 2022-03-09 2159
426 다이몬의 소리 김동렬 2023-01-23 2156
425 인간의 사정 1 김동렬 2022-12-10 2154
424 입자냐 파동이냐 김동렬 2022-02-16 2152
423 깨달음 김동렬 2023-09-06 2151
422 빛에 대한 추가 이야기 김동렬 2022-09-27 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