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827 vote 0 2023.01.30 (19:34:56)


    황당한게 자연발생설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발생'이라는 개념이다. 그런데 발생이 뭐지? 미생물에 의해 생물이 번식한다면 쉽다. 발생이 뭐냐고? 그건 미생물에게 물어봐. 문제를 떠넘기면 된다. 그런데 자연발생설로 가면 발생론이라는 새로운 과학과 철학이 태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한다는 거야? 발생의 메커니즘이 뭐야? 이거 대박이다. 창조설 찜쪄먹고 진화론 압도하는 새로운 학문으로 발생학이 등장해 주시는 거다. 그런데 왜 아무도 자연발생설을 뒷받침하는 발생론을 논하지 않는가?


    언어가 과학에 앞선다는 말은 이런 의미다. 얼버무리기 없다. 인간들이 말을 애매하게 한다. AI 하는 사람들이 창발이라는 단어를 쓴다. 그런데 창발이 뭐지? 뜻을 알고 쓰는 사람은 없다. 비겁한 짓이다. 이런 것을 끝까지 물고 늘어져야 한다. 말을 똑바로 하라는 공자의 정명사상에서 배워야 한다.


    어떤 사람이 혼자 길을 간다면 지구와 대칭이다. 두 사람이 함께 간다면 옆사람과 대칭이다. 대칭이라는 본질은 변하지 않지만 대칭이 자리를 바꿨다. 창발은 자리바꿈이다. 무에서 유가 출현한 것이 아니라 숨어 있던 것이 드러난 것이다. 궁극적으로 우주 안의 모든 변화는 자리바꿈이고 방향전환이다.


    변화는 계를 중심으로 일어난다. 계 내부에 밸런스가 있다. 그것은 갑자기 개입한다. 사람들은 깜짝 놀라서 창발이라는 말을 한다. 창발은 계의 존재를 깨닫지 못하다가 뒤늦게 알아채는 것이다. 자연의 모든 변화는 밸런스의 재조립이다. 창발은 기존에 없던 다른 형태의 밸런스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것은 생겨난 것이 아니라 복제된 것이다. 닫힌계 안에서 밸런스의 격발에 의해 존재는 기능을 획득한다.


    격발 이전에 전달이 있다. 발생론을 쓰려면 먼저 전달론을 써야 한다. 전달은 대칭을 따라간다. 첫 번째 도미노의 쓰러짐이 발생이라면 두 번째 도미노의 쓰러짐은 발생한 기능의 전달이다. 도미노가 둘이면 전달과 발생이 구분된다. 창발은 전달과 발생의 구분이다. 불을 켜는 것이 발생이면 불이 옮겨붙는 것은 전달이다. 인류의 대부분의 착오가 발생과 전달을 헷갈린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6860 의사결정 김동렬 2024-05-31 567
6859 지식의 원점 김동렬 2024-05-20 607
6858 방시혁 민희진 전쟁 중간점검 update 김동렬 2024-05-31 673
6857 프레임 정치의 야만성 김동렬 2024-05-30 755
6856 신라 마립간은 무엇인가? 2 김동렬 2024-05-14 775
6855 지도로갈문왕 수수께끼 image 김동렬 2024-05-20 863
6854 첫 만남 김동렬 2024-05-16 865
6853 다르마를 따르라 1 김동렬 2024-05-14 882
6852 인간의 입장 김동렬 2024-05-26 884
6851 직관론 김동렬 2024-05-08 889
6850 생각인간 김동렬 2024-04-13 900
6849 인류의 차원 도약 김동렬 2024-05-03 901
6848 프레임을 극복하라 김동렬 2024-05-10 908
6847 착한 아이 콤플렉스의 위험성 image 김동렬 2024-05-26 919
6846 마음의 마음 김동렬 2024-03-10 924
6845 존재 김동렬 2024-04-05 940
6844 지구를 지켜라의 멸망 원인 김동렬 2024-05-20 941
6843 구조를 보는 방법 김동렬 2024-03-14 951
6842 석가의 의미 김동렬 2024-05-16 959
6841 물방울이 둥근 이유 김동렬 2024-03-11 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