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826 vote 0 2023.01.13 (10:59:49)

    나무를 짜맞춰 집을 지을 때 마지막 귀퉁이는 맞출 수 없다. 약간 헐겁게 해서 억지로 끼워넣어야 한다. 조립식 장난감이라도 마찬가지다. 최소 부품 한 개는 본드로 붙이거나 나사를 조여야 하는 일이 생긴다. 완벽하지 않다.


    실내에 좌석을 꽉 채우면 안 되고 최소 한 칸은 비워놔야 한다. 중간에 화장실 간다는 사람 나온다. 어떤 구조물이든 통로문제 때문에 완전효율을 달성할 수 없다. 항상 여유분이 있어야 하고 약간의 손실은 감수해야 한다.


    게는 속으로 살이 찐다. 살이 꽉 차면 곤란해진다. 게는 허물을 벗을 때가 취약하다. 식물의 성장도 모순이 있다. 나무의 속은 생물학적으로 죽어 있다. 껍질도 해마다 갈라져서 땅에 떨어진다. 일부의 손실을 피할 수 없다.


    생물의 진화는 원핵과 진핵, 단세포와 다세포, 겉씨식물과 속씨식물, 단성생식과 양성생식, 체외수정과 체내수정을 거치며 단계적으로 일어난다. 대개 구조문제를 해결하려고 껍데기를 씌웠다가 덧나서 일이 커진 것이다.


    컴퓨터에서 나는 열을 완벽하게 잡는 방법은 원리적으로 없다. 에너지는 안으로 들어갈 수는 있어도 되돌아나가는 일이 없다. 들어간 에너지는 다른 에너지로 밀어내야 하는데 밀어내려고 들어간 에너지가 또 남아 있다.


    일을 하다보면 마지막 한 개가 남아서 말끔하게 해결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빗자루로 바닥을 쓸어도 그렇다. 마지막에 남은 먼지는 걸레로 닦아야 한다. 반드시 외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이것이 우주의 근본문제다.


    세상 모든 문제가 이 하나의 모순에 의해 일어난다. 방향충돌이다. 생물의 생장은 안에서 밖으로 커지는 방향인데 에너지는 밖에서 안으로 좁혀지는 방향이다. 건물을 지어도 밖으로 커지는데 자재는 안으로 들어온다.


    무언가 하려면 반드시 이 문제에 부딪힌다. 구조문제는 원리적으로 해결이 안 되지만 문제를 완화시켜서 적당히 넘어가는 방법은 있다. 그것은 진보다. 진보와 진화는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지만 잠시 시간을 벌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677
6221 어이없는 전쟁 김동렬 2003-03-21 17401
6220 전쟁의 참상 김동렬 2003-03-23 14504
6219 아카데미시상식 난리(펌) 김동렬 2003-03-24 14442
6218 조선일보가 비판받아 마땅한 100가지 이유(한겨레펌) 김동렬 2003-03-25 13536
6217 수렁에 빠진 부시 image 김동렬 2003-03-25 13269
6216 안희정은 무슨 배짱으로 .. 미친 넘 image 김동렬 2003-03-26 20995
6215 안희정의 경우는 이렇게 생각하세요. 김동렬 2003-03-26 18027
6214 전황속보(서프) 김동렬 2003-03-27 13322
6213 서프의 진로와 글쓰기의 고민 김동렬 2003-03-28 14983
6212 전황분석 - 1라운드는 부시의 참패다 image 김동렬 2003-03-28 13499
6211 진실은 가려져야 한다 image 김동렬 2003-03-29 14314
6210 석유전쟁 김동렬 2003-03-31 15947
6209 러 군사정보국 보고 (지오리포트) image 김동렬 2003-04-01 13515
6208 노무현 오판인가? image 김동렬 2003-04-01 13984
6207 택시 자폭테러 이라크인의 유서 김동렬 2003-04-02 15519
6206 『전쟁중독』 image 김동렬 2003-04-02 15078
6205 약간의 손질은 이렇게 하라 image 김동렬 2003-04-03 15509
6204 후세인과 부시는 쌍둥이였다. image 김동렬 2003-04-03 15600
6203 초보대통령께 드리는 당부 image 김동렬 2003-04-07 13126
6202 여교사가 자살했을 경우 좃선의 예상 반응은? 김동렬 2003-04-08 14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