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689 vote 0 2011.02.14 (19:13:36)


양아치 , 장사치, 벼슬아치, 구실아치, 갇바치, 

흥정바치, 반빗아치, 이치, 저치  등에 보이는 우리말 치의 기원은 


몽고어, 돌궐어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그것이 반드시 몽고에서 유래했다고 본다면 곤란하다.


하여간 몽고어로는

코르치..화살담당

올도치..칼담당

고로치..새담당

바르스치..표범담당

자를릭치..고급문서담당

비칙치..하급문서담당

바오르치..요리담당

커덜치..종말담당

발라가치..성문담당.

다라치..술담당

올라가치..역마담당

모린치..말담당

수크르치..옷담당

켈레메치..통역담당

코닌치..양떼담당

구유치..개담당

카라치..암말담당

다루가치..총독


마루치..마루담당

아라치..아라담당


우리말 존칭 지와 관계있을지 모르지만 몽고의 영향 혹은 교류가 있었던 것은 확실.



#1 -아치 #2 , 工匠 #4 바치 #7 바치#% 字會 中;3 #7 , 바치#% 三國史 卷五, 羅紀五, 善德王 #8 양주동(1970), 증보 고가연구$ 일조각 &488 0 신은경 961021

 

<- 확실하지 않지만 우리나라에서 어원 연구한 박사들 중에 이같은 사실을 알아낸 사람은 아직 없는듯.

<- 아치 바치를 단순 공장노동자로 보는듯.

<- 몽고어도 검토 안 하고 어원연구를 하고 있다는 건가?

 

 


프로필 이미지 [레벨:2]미친거북이

2011.02.14 (21:54:39)

은어로 쓰이던 <깔치> (흠흠.. 죄송)도 연관성이 있지 않을까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1.02.14 (22:52:15)

연관성은 있지만 원래 치는 직업입니다.

양아치-> 동냥아치-> 거지

이치, 저치-> 치가 많이 쓰이다 보니 가져다 붙인 말

깔치-> 바닥에 깐다는 뜻으로 범죄자들이 빵에서 간수가 못 알아먹게 하려고 쓰는 말.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129
2093 구조론 목요모임(3층) image 오리 2020-05-28 1212
2092 확률은 바꿀 수 있다. 현강 2020-08-13 1212
2091 구조론 목요모임(서울역) image 오리 2020-08-13 1216
2090 성립의 조건은 상호이다. 1 현강 2020-08-04 1224
2089 원인과 결과 약속 2020-07-17 1229
2088 다 같은 라인이 아니다 현강 2020-07-25 1236
2087 통제가능성의 획득과 통제필요성의 소실 현강 2020-01-04 1240
2086 구조론 목요모임(서울역) image 오리 2020-07-30 1244
2085 공부 안해도 되는 시대의 공부 이상우 2022-04-20 1244
2084 전국토를 정원으로 만들자 ahmoo 2020-08-19 1247
2083 방향이냐 속도냐 systema 2020-05-01 1251
2082 생명로드57- 원전위험공익제보센터 고문변호사 초빙 타겟기부 image 4 수원나그네 2020-04-28 1251
2081 정보냐 밀도차냐 현강 2020-08-10 1251
2080 생명로드 30 - 국제소송 준비토론회 image 수원나그네 2018-11-02 1252
2079 라인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현강 2020-07-26 1271
2078 학문에 대한 해석 2 오민규 2020-06-27 1272
2077 별개의 사건 현강 2020-08-06 1272
2076 확률과 구조론 다음 2020-08-10 1277
2075 땅값 집값 문제 5 - 토지독점은 노예제 수원나그네 2018-01-16 1281
2074 동적논리 systema 2020-05-15 1287